전체 글 7386

만지고 싶은 기분

뮤지션이자 작가인 요조의 산문집이다. 요조 작가는 '책, 이게 뭐라고'라는 팟캐스트에서 목소리로 친근해진 터여서 쉽게 다가갈 수 있었다. 여기에는 음악을 하고 글 쓰는 여성의 섬세한 감성을 느끼고 싶은 면도 있었다. 일흔 넘어 자꾸 무디어지는 감성을 이런 식으로라도 보충하지 않으면 내 생각과 삶이 너무 삭막해질 것 같아서였다. 예상한 대로 따스하면서 여린 작가의 마음씀을 글을 통해 접할 수 있어 좋았다. 글은 상당 부분 글 쓴 사람의 인격을 드러내기 마련이다. 작가는 기본적으로 사람을 좋아하는 분 같다. 그러면서 작고 연약한 것에 대한 애정이 잔잔하게 흐른다. 제주도에 '책방 무사'라는 서점을 연 연유도 여기에 있지 않나 싶다. "익숙하게 싫어하던 대상에 낯설게 임해보면 싫어하는 마음이 슬그머니 묘연해질..

읽고본느낌 2024.04.23

반에 반의 반

가끔 여자가 되어 보고 싶을 때가 있다. 여자의 속성이 부러워서라기보다 여자가 바라보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가 궁금해서다. 여자가 바라보는 남성, 여자가 바라보는 가족, 여자가 바라보는 생명 등은 남자의 관점과는 다를 것 같다. 우리는 이성(異性)과 섞여 살지만 어쩌면 죽을 때까지 상대를 알지 못하고 살아가는지 모른다. 천운영 작가의 소설 은 여성의 입장에서 여성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연작의 형식으로 작가 자신의 체험에서 나온 사연들을 담고 있다. 딸조차도 어머니를 오해하는데 남성이 여성을 이해하기는 훨씬 더 어려운 일이다. 남성은 체화한 인습과 관념의 색안경을 끼고 여성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물론 그 반대도 마찬가지겠지만.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인간을 더 깊이 이해하려는 노력이라고 생각한다. 소설에서..

읽고본느낌 2024.04.22

홍세화 선생의 마지막 당부

대표적인 진보 지식인이자 활동가였던 홍세화 선생이 지난 18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77세였다. 선생은 1970년대 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프랑스에 망명했다가 라는 책을 내며 일반에 알려졌다. 내가 선생을 알게 된 것도 이 책을 통해서였다. '똘레랑스'라는 말을 이때 처음 접했지 않나 싶다. 그 뒤 귀국해서 저술과 강연, 정치 등 너무 물질적으로 경도되는 우리 사회를 경고하며 다양한 활동을 했다. 20년 전 쯤 선생을 강연장에서 뵀던 기억이 난다. 전교조 서울지부에서 주최한 강연회였는데 잠실에 있는 여성회관에서였다. 교사들 대상이었으니 강연 주제는 한국 교육의 현실 진단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프랑스 교육 제도와 비교하면서 아동 학대에 다름없는 우리의 입시 체제를 비판하면서 교육 운동을 격려했다. 그때 ..

참살이의꿈 2024.04.21

종달새의 하루 / 윤석중

하늘에서 굽어보면 보리밭이 좋아 보여 종달새가 쏜살같이 내려옵니다. 밭에서 쳐다보면 저 하늘이 좋아 보여 다시 또 쏜살같이 솟구칩니다. 비비배배거리며 오르락내리락, 오르락내리락하다 하루 해가 집니다. - 종달새의 하루 / 윤석중 소년 시절에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가자면 벌판을 지나야 했다. 가운데에 둑방이 있었는데 왼쪽으로는 하천 언저리의 터가 넓었고, 오른쪽으로는 논과 밭, 과수원이 있었다. 우리는 둑방 위로 날 길을 따라 학교를 오갔다. 봄날이면 벌판에 아지랑이가 피어나고, 하늘에서는 종달새가 우짖으며 바삐 날아다녔다. 아지랑이와 종달새 노랫소리로 아련하게 떠오르는 내 어릴 적 봄 풍경이다. 하지만 종달새를 가까이 볼 수는 없었다. 멀리 작은 점으로 하늘에 떠 있거나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모습으로만 ..

시읽는기쁨 2024.04.20

괴물 부모의 탄생

교사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밖에 나가는 소풍이나 체험 학습을 꺼려한다는 보도를 보았다. 작은 사고만 나도 고소를 당하고, 심지어는 자기 아이에게 독방을 달라고 요구하는 극성 학부모도 있다고 한다. 작년에는 학부모의 항의와 민원으로 고통을 받던 교사가 자살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사회문제가 되었다. 지나치게 제 자식만 챙기면서 교사를 괴롭히는 학부모를 일본에서는 '괴물 부모'라고 부르는 것 같다. 은 우리보다 먼저 이런 병증을 겪고 있는 일본과 홍콩 사례를 중심으로 괴물 부모가 생겨난 원인과 내재한 심리, 대안을 모색하는 책이다. 담임이 말하는 괴물 부모의 악행을 보면 기가 차는 사례가 많다. 소풍을 갔다왔는데 제 딸 사진이 잘 나오지 않았다고 다시 소풍을 가라고 요구한다든지, 담임의 액세서리나 아이폰을 본 아..

읽고본느낌 2024.04.19

소래풀

소래풀꽃은 유채꽃과 비슷한 시기에 핀다. 겉보기로는 유채와 닮은 점이 많아 '보라유채'라고도 불린다. 유채와 소래풀은 같은 십자화과에 속하니 계통상으로는 근연관계에 있는 종이다. 유채처럼 나물로 먹을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소래풀도 유채처럼 넓은 면적에 대량으로 기르면 비슷한 분위기를 낼 것 같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유채와 섞어서 꽃밭을 만들면 좋을 듯하다. 유채나 소래풀이나 낱개보다는 군락으로 있어야 더욱 빛이 나는 꽃이다. 전주천에서 처음 만난 소래풀이었다.

꽃들의향기 2024.04.18

9년 만에 대모산을 걷다

수서에서 점심 약속이 있던 차에 겸하여 대모산(大母山) 길을 걸었다. 9년 만이었다. 대모산입구역에서 내려 10여 분 걸어가면 산으로 올라가는 입구를 만나고, 산길은 일원터널 위를 지나간다. 일원터널 위에서는 재건축된 스타힐스아파트가 보였다. 5층 짜리 허름한 서민 아파트가 있던 자리인데 어느새 모던하게 일변했다. 공무원 임대아파트에 살던 친구집에 바둑 두러 자주 갔던 기억을 떠올리며 한참을 서 있었다. 30년도 더 전이니까 까마득한 옛날이다. 나에게 대모산은 3, 40대 때의 추억이 오롯이 담긴 산이다. 집에서 걸어 다닐 정도로 가까웠으니 뒷산처럼 수시로 오갔다. 그 뒤로 대모산과 멀어진 것이 내 인생의 전환점이 된 셈이다. 산 중턱에 있는 불국사(彿國寺)를 찾아보았다. 얼마나 변했을까, 궁금했는데 의..

사진속일상 2024.04.17

문수사 겹벚꽃

서산시 운산면에 있는 문수사(文殊寺)는 겹벚꽃으로 유명하다. 전주에서 올라오는 길에 마침 겹벚꽃 때와 맞아 문수사를 찾았다. 봄비 내리는 평일이라 겹벚꽃 명소지만 드문드문 사람들이 보일 뿐이었다. 비를 맞은 벚꽃 색깔이 더 진해 보여 나에게는 안성맞춤의 날이었다. 겹벚꽃은 벚꽃이 지고나서 핀다. 꽃 색깔은 분홍색이다. 문수사 겹벚꽃은 대략 4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에 활짝 핀다. 같은 종류지만 겹벚꽃은 벚꽃과는 완연히 느낌이 다르다. 화려하고 풍성한 복사꽃을 보는 듯하다. 올해는 이곳저곳 아름다운 봄꽃을 자주 만나고 있다.

꽃들의향기 2024.04.16

장모님을 뵙고 오다

장모님을 뵈러 전주에 내려가서 3박4일간 있었다. 아내는 자주 내려가지만 함께 가기는 오랜만이었다. 어쩌다 보니 각자 자신의 어머니를 주로 챙기게 되었다. 아무래도 마음씀이 내 혈족만 하겠는가. 아내가 내 어머니를 대하는 마음이 나와 같기를 바라는 것은 욕심임을 안다. 반대도 마찬가지다. 마음이 일어나는 대로 자연스레 살아가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과거에는 그렇지 못해서 자주 부딪치며 부부싸움의 원인이 되었다. 이젠 어느 정도는 의무감의 속박에서 벗어났다. 첫째 날은, 내려가면서 대전에 있는 계족산 황톳길에 들렀다. 요사이 맨발 걷기가 유행인데 그 원조가 장동산림욕장 안에 있는 이 황톳길이다. 계족산 황톳길은 2006년에 임도 14.5km에 황토 2만여 톤을 투입하여 조성한 맨발 걷기의 명소다. 임도..

사진속일상 2024.04.16

용두회에서 남한산성 걷기

용두회의 이번 달 월례 걷기는 남한산성이었다. 넷이 남문에서 시작하여 수어장대, 서문, 북문을 거쳐 산성마을까지 걸었다. 수어장대 옆에서 자라는 소나무에는 원형 지지대를 설치하는 공사를 하고 있었다. 이제 우리 걷기는 노인들의 산책 수준이 되었다. 전 같았으면 응당 씩씩한 성곽 한 바퀴였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아무도 말을 꺼내지 않는다. 좀 더 지나면 이마저도 힘겨워서 아랫동네에서만 놀려고 하겠지. 그날이 멀지 않았다는 사실이 애잔하다. 바꿔 말하면 오늘 이렇게 걸을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하고 감사한 일인지를 알겠다. 어제 22대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이 있었다. 범야권이 190석에 이르는 대승을 했다. 국민이 윤석열 정권에게 매운 회초리를 든 셈이다. 내심 생각은 많겠지만 우리 사이에서 선거 결..

사진속일상 2024.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