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위의단상

통찰력

샌. 2013. 4. 15. 17:24

김규항 씨는 사물과 현상의 핵심을 정확하게 짚어낸다. 그분의 글은 주제에 맞는 낱말이 한 치의 빈틈도 없이 제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군더더기가 없다. 글을 참 잘 쓰는구나, 라는 감탄이 절로 난다. 글 쓰는 사람의 준범으로 삼을 만하다.

 

오랜만에 블로그에 들어갔더니 역시 눈에 띄는 글이 여럿 발견된다. 요사이는 경구 비슷한 단문이 많다. 좋은 글은 세상에 대한 통찰력에서 나온다는 것을 다시 확인한다.

 

최근에 올린 글 중에서 몇 개를 골라 보았다.

 

 

돛과 닻

 

자전거를 탈 때 바람이 뒤에서 불면 몸은 돛이 되고 앞에서 불면 몸은 닻이 된다. 자전거를 탈 때만은 아니다. 몸은 언제나 우리의 돛이자 닻이다.

 

최악의 그늘

 

진보적 시민들이 최선보다 차악을 선택하는 현상은 진보의 현실적 모색이라 설명되곤 하지만 실은 최악의 그늘 아래 자신을 숨기려는 것이다.

 

교활

 

내 문제를 상대에게 떠넘기는 가장 교활한 방법은 내 문제를 '우리의 문제'로 삼는 것이다. 이 방법이 가장 교활한 이유는 상대는 물론 나마저 속일 수 있기 때문이다.

 

뒤집힌 상

 

옆 차가 출발하는 순간 내가 탄 차가 뒤로 물러나는 착각과 같은 '뒤집힌 상'의 상태는 우리 삶의 관계 속에서 빈번하다. 내가 상대를 힘들게 하면서 상대가 나를 힘들게 한다고 생각한다거나, 내가 떠나놓고는 상대가 떠났다고 원망한다거나. 어이없는 일이지만 우리 삶이 늘 그렇다. 우린 언제나 보이는 걸 보는 게 아니라 보고 싶은 걸 본다.

 

흠이 없는 사람

 

'흠이 없는 사람'은 불행하다. 사람 사이의 깊은 소통과 교감이란 무엇보다 내 흠을 드러내고 또 상대의 흠을 어루만지는 일에서 출발하는데 '흠이 없는 사람'은 드러낼 흠도 없고(흠을 드러낼 줄 모르고) 상대의 흠을 지적하고 충고할 줄은 알되 어루만질 줄은 모르기 때문이다. 흠이 없는 사람은 모두의 선생일 순 있지만 누구에게도 친구일 순 없다.

 

자긍

 

사람의 문제는 대개 '내 인격적 장점이라 자긍하는 부분'에서 생겨나며 그래서 좀더 치명적이다.

 

선생

 

언제나 가까이에 있다. 미처 알아보지 못할 뿐.

 

현자

 

우리는 인류의 역사에서 빛을 발하는 많은 현자들을 알고 있다. 그러나 여느 수많은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 속에 닿아있던 현자들은 그렇게 크고 유명한 현자들이 아니다. 언뜻 보기엔 평범한 사람 중 하나일 뿐이지만 삶에서 쌓고 깨우친 지혜와 현명함으로 가득한 지근거리의 현자들이 있었다. 어르신이라 불리든 언니라 불리든 형이라 불리든, 얼크러진 세상과 삶의 고민거리들을 밝혀주고 길을 깨우쳐 주는 현자. 우리가 사는 세상이 갖는 비극 가운데 하나는 더는 지근거리의 현자를 찾기 어렵다는 것일 게다. 자본주의, 특히 극단화한 오늘의 자본주의는 사람들이 삶의 공간에서 더 이상 지혜와 현명함을 구하지 않도록 조종해왔다. 지혜와 현명함은 자본주의적 신민의 삶, 나와 내 식구만 생각하며 열심히 노동하고 또 노동해서 만든 상품들을 소비하여 삶의 기쁨을 찾는 삶이 우스꽝스러운 노예의 삶임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자본주의는 그렇게 지혜와 현명함을 소거하고 현자를 소거해왔다.

 

트위터

 

사람이 입을 지나치게 나불거리는 건 좋지 않다. 입을 지나치게 나불거리면 생각도 나불거리게 마련이다. 말의 속도와 호흡마저 중시하던 옛 선비들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어느 시대 어떤 세상이든 사유하는 인간이라면 해당하는 이야기다. 그렇게 볼 때 트위터는 사람에게 그리 좋은 도구는 아니다. 특히 한국처럼 '네티즌의 힘' 'SNS의 힘'이 시스템에 의해 악의적으로 상찬되는 사회에선 더욱.

 

 

'길위의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고도는 인생  (0) 2013.05.07
자꾸 늘어나는 모임  (0) 2013.04.25
일주일째  (0) 2013.04.06
분홍색 연기  (0) 2013.03.27
피겨 퀸 김연아  (0) 201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