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본느낌

춘추전국 이야기

샌. 2016. 9. 4. 10:58

공자(BC 551~479)는 춘추시대 후기에 살았다. 시대 구분을 보면 춘추시대는 주나라가 수도를 낙읍으로 옮긴 BC 770년에서 BC 403년까지, 전국시대는 BC 403년에서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한 BC 221년까지다. 공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 배경을 알아야겠기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춘추전국 이야기>는 공원국 선생이 쓰고 있는데 전체 12권으로 계획되고 있다. 현재 9권까지 출판된 것으로 알고 있다. 나는 이번에 3권까지 읽었다. 춘추오패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데, 1권이 제(齊) 환공, 2권이 진(晉) 문공, 3권이 초(楚) 장왕을 다루고 있다.  춘추시대 중기까지의 이야기가 나온다.

 

주나라의 세력이 약해졌지만 그래도 제후국이라는 명분이 유지되고 있던 때가 춘추시대였다. 형식적이었다해도 주로부터 권위를 인정받아야만 힘을 과시할 수 있었다. 공자의 주에 대한 향수가 이런 배경에서 이해될 것 같다. 춘추시대에는 군사력만으로 무조건 다른 나라를 정복할 수는 없었다. 그에 걸맞는 명분이 필요했다. 춘추시대는 힘과 명분이 갈등을 겪는 시대였다고 할까, 공자는 힘보다 명분을 우선시하는 입장이었다.

 

춘추오패 중에 제일 주목할 인물은 초 장왕(莊王)이다. 초는 남방의 강국으로 장왕대에 이르러 중원의 패자가 되었다. 장왕은 절영지회(絶纓之會)의 고사로 유명하다. <설원>에 나오는 대목을 그대로 옮기면 이렇다.

 

장왕이 여러 신하들에게 술을 내리며 잔치를 벌였다. 날이 어두어지고 술이 한창 올랐을 때 촛불이 꺼졌다. 그때 어떤 신하가 장왕을 모시던 미인의 옷을 끌어당겼다. 미인이 그자의 갓끈을 끊고는 왕에게 고했다.

"방금 촛불이 꺼졌을 때 어떤 자가 첩의 옷을 끌어 당겨 수작을 걸더이다. 불을 켜거든 군주께서는 갓끈이 끊어진 자를 잡아내소서."

장왕은 묵묵히 듣다가 돌연 좌중에 명령을 내렸다.

"오늘 과인과 술을 마시는데, 갓끈이 끊어지지 않은 이는 제대로 즐기지 않은 것으로 알겠소."

이리하여 100명이 넘는 신하들이 갓끈을 다 끊자 불을 켰다. 이리하여 상하가 질탕하게 즐긴 후 자리를 파했다.

3년이 지나서 진(晉)과 싸움이 벌어졌다. 그때 어떤 용사 하나가 앞장서서 용전하는데, 적과 다섯 번 싸워서 모두 격퇴시켰다. 이리하여 결국 싸움에서 이겼다.

장왕이 이 용사를 가상하게 여겨 물었다.

"과인이 덕이 부족하여 그대처럼 뛰어난 이를 아직 알아보지 못했다. 그대는 어떻게 죽음도 무서워하지 않고 용맹하게 싸웠는가?"

그러자 그 용사가 대답했다.

"신은 오래전에 죽어야 할 몸이었습니다. 예전에 술에 취해 실례를 범했을 때, 왕께서는 몰래 참고 저를 죽이지 않으셨습니다. 저는 감히 그 은덕을 감추고 끝내 왕께 보답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항상 간뇌를 땅에 흩뿌리고, 목의 피로 적을 적실 날을 기다렸습니다. 신은 그날 밤 갓끈을 뜯긴 자이옵니다."

 

장왕의 인간됨을 알 수 있는 고사다. 이런 왕 밑에서 목숨을 마다 않는 장군이 나오지 않을 수 없다. 뒷날 전국시대의 오기가 병사의 고름을 입으로 빨았다는 일화도 전한다. 장왕은 결점도 있지만 이렇듯 통 큰 지도자였다.

 

가장 큰 장왕의 특징은 힘을 멈출 줄 알았다는 데 있다. 진(陳)이나 정(鄭)을 정복하고도 초나라 땅으로 흡수하지 않았다. 승전의 행사를 하는 것도 거절했다. 지과지무(止戈之武)의 모범을 보인 것이다. 이렇듯 상대를 배려해 주고 무릎 꿇은 자를 일으켜 세워준 것은 무력이 아닌 마음으로 복속되기를 바랐는지 모른다.

 

책에서는 장왕과 노자를 비교하는 것에 한 장을 할애하고 있다. '멈춤을 알면 위태롭지 않다' '군사력은 최상의 수단이 아니다' '남보다 뛰어남은 미덕이 아니다' '지극한 사랑은 위엄보다 낫다' 같은 노자의 가르침을 실천한 본보기가 장왕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지은이는 '장왕과 노자는 무(武)와 문(文)이라는 이름을 가진 쌍둥이다'라고까지 말한다.

 

노자의 <도덕경>이 군주를 위한 지침서인 측면이 있다. <도덕경>을 읽어 보면 노자 사상을 실천할 지도자가 가능할까, 하는 의문이 드는 게 사실이다. 그런데 노자와 닮은 군주가 존재하고, 그가 바로 장왕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건 이 책을 읽은 수확이다. 앞에 나온 환공이 '유가적 군주', 문공이 '법가적 군주'라면, 장왕은 '도가적 군주'라는 것이다. 그렇게 부를 수 있는 것은 장왕이 어떤 대 멈춰야 하는지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멈추라!'는 것은 노자 사상의 핵심이다.

 

노자는 장왕보다 후대의 사람이다. 장왕이 노자 가르침을 들은 적은 당연히 없겠지만 초나라의 문화적 토양에 그런 요소가 있지 않나 싶다. 노자도 초나라 사람이기 때문이다. 예교에 물들지 않은 거칠고도 활달한 남방의 문화가 장왕과 노자를 낳지 않았나 싶다.

 

'읽고본느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명현의 별 헤는 밤  (0) 2016.09.17
서프러제트  (0) 2016.09.10
스타트렉 비욘드  (0) 2016.08.28
양철북  (0) 2016.08.22
도대체 학교가 뭐길래  (0) 2016.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