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나침반

장자[219]

샌. 2012. 9. 20. 10:01

막막하여 형체가 없고 변화무상하니

죽음도 삶도 더불어 하고

천지의 아우름과 더불어 하고

신명의 운행과 더불어 한다.

망망한데 어디로 갈 것이며

순간인데 어디까지 갈까?

만물이 모두 그물인데

근원으로 돌아감만 못하리라!

 

笏漠無形變化無常

死與生與

天地竝與

神明往與

芒乎何之

忽乎何適

萬物畢羅

莫足以歸

 

- 天下 3

 

 

우주 만물의 근원을 도(道)라고 할 때, '홀막무형변화무상(笏漠無形變化無常)'은 장자학파에서 생각하는 도의 속성을 잘 말해주고 있다. 더 나아가 중국 사상을 관통하는 중심 단어가 '변화무상(變化無常)'이 아닌가 싶다. 서양에서는 영원불변하는 실재를 가정하고 그것을 탐색하는 작업이 철학의 기본 흐름이었다. 초기에 나타나는 원소설에서부터 이데아론에 이르기까지 불변하는 그 무엇인가를 찾으려고 했다. 그러나 동양에서는 우주의 근원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지 않는다. 그것은 정의되지도 않고, 알 수도 없는 것이다. 막막하여 형체가 없고, 변화무상할 뿐이다. 묘하게도 현대과학에서 설명하는 우주는 서양보다는 동양의 인식에 더 가깝다.

 

그러므로 변화의 흐름에 거역하지 않아야 한다. 자신을 비우고 변화에 몸을 맡길 때 제일 편안한 상태가 된다. 그것이 존재의 본성과 가장 일치하는 삶이다. 장자학파에서 이상적으로 여기는, 근원으로 돌아가는 삶의 태도다. 또한 삶과 죽음이 따로 분리된 게 아니다. 순간이 영원과 연결되어 있다. 내가 가지고 있는 헛된 개념을 벗어던질 때 우주와 일체가 되는 경험을 한다. 신선이 다름 아니다. 모든 인위적인 분별과 개념의 굴레에서 벗어난 사람이다.

 

어느 분의 글을 읽다가 이런 장자적 깨달음을 말하는 걸 보았다. 여기에 일부를 옮긴다.

 

 

어느 날 그것이 밀려들었다. 갑자기였다. 정말 순식간이라 그것이 어떤 경로를 통해 나에게 일어났는지를 설명할 수 없이 순식간이었다. 모든 개념을 치운 그 자리, 그 텅 빈 자리엔 진정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60년 동안 속이 부글거리도록 품고 있던 가지가지 문제들이 요술처럼 사라지고 없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였던가? 문제는 내가 '문제'라고 표딱지를 붙인 그때부터 문제이기 시작했던 것이다. 세상에, 이렇게 허황된 짓을 하느라 인생이 그렇게 분주했다니! 그 텅 빈 공간에 가지가지 흠집들을 만드느라 그리도 바빴다니!

 

빅뱅 이래 140억 년 동안 우주엔 아무 문제가 없지 않았던가? 오로지 서로 어우러지는 쉬임 없는 흐름만이 있을 뿐이었다. 그런데 우주사의 마지막 1초에 변방의 변방에서 먼지로 뭉쳐진 지구라는 돌조각 위에 스스로를 사람이라고 이름한 어떤 꼼지락거리는 존재가 생겨나 엄마, 아빠를 옹알거리더니 엄마와 아빠 사이에 생겨난 자신을 '나'라고 이름하고 그 나머지 전 우주를 '너'라고 이름하면서 그 가없는 허공에 사나운 도장을 숱하게도 찍어대기 시작한 것이었다. 좋다 나쁘다 밉다 곱다 크다 작다 옳다 그르다.... 도대체 이 '나'는 신이었던가. 우주를 헤치고 가르고 분별하고 판단하고 비판하는 신이었던가. 아니, 신은 그러하시질 아니한다. 당신께선 우주를 만드시곤 그냥 보시기에 좋으셨다 하시지 않았던가. 그래, '나'가 신이었다면 이 '나'는 신께서 지으신 보기에 좋은 이 우주를 온통 문제투성이로, 상처투성이로 난도질해댄 개념의 신, 번뇌의 신이었다. 이 기막힌 행태에 비하면 당랑거철의 사마귀는 사람보다 억천만 배 이성적이고 지혜로웠다.

 

허깨비 도장을 모두 치웠다. 티끌도 못 되는 존재로 이 무한 허공을 평가하고 판단하며 그 틈새에서 살아내려는 그 어리석고 어리석은 짓을 깨끗이 포기하고 완전히 굴복하였다. 순식간에 엄청난 휴식감이 밀려왔다. 이 세계에 그런 휴식이 있는 줄조차 몰랐던 그런 휴식감. 아, 45역 년 동안 짊어지고 있던 짐덩이가 떨어져나간 것이었다! 나는 누덕누덕 누더기와 해질 대로 해진 신발을 벗어던지고 거대하고 거대한 우주의 욕조 속에 온몸을 첨벙 담그었다. 발가락 끝끝까지 우주의 목욕물이 스며들어 이 일물은 그만 자지러질 것 같았다. 이 일물은 '나'라는 인간에서 그냥 '존재'가 되었다. 인간이라는 자폐증을 앓다가 정신 차려보니 질병이란 애시당초 있지도 않았고, 세계는 그저 하나로 툭 터져 있었다. 아아, 나는 저 좁쌀 알갱이만한 인간의 상식 속을 맴돌다가 한 말씀에 우주의 상식으로 돌아온 것이었다.

 

나무 위에서 새가 노래를 한다. 그냥 노래하는 거다. 아무 까닭도 없이, 이유도 없이 그냥 노래하는 것이다. 그냥 존재가 좋아서 존재에 충만하여 그냥 노래하는 것이다. 너무도 시원하다. 개념으로 살면 언제나 꼬장꼬장한 것에 끝없이 시달리는데 그 개념이라는 인공물을 놓아버리니 그냥 이리도 좋은 것을, 이리도 좋고 이리도 시원한 것을!

 

내 마음대로 이 우주를 가르고 헤치고 조각내어 붙여댔던 그 무수한 이름과 그 이름들 사이사이에 가로로 세로로 수도 없이 질러놓았던 칸막이들을 모두 치워버리자 이 우주는 문제는커녕 사랑이 넘치는 한몸, 그대로 완전무결의 세계였다. 이 중중연기의 세계에서는 모든 존재가 어떤 규정도, 어떤 한정도 불가능한 무한의 존재였다. 그 무엇도 도모하려고 애쓸 필요없이 그냥 존재하면 본래 그것으로 온전한 무한의 존재....

 

이쪽에서, 맨 끝의 지말(枝末)에서, '개념'이라는 바늘구멍을 통해 저쪽을 내다볼 때는 온통 뒤죽박죽이라 대처 불가능하던 세계가, 중심의 자리에서, 근원의 자리에서 훤하게 바라보니 텅 비어 아무 문제없는, 그냥 그대로 본래 청정이었다. '이 자리'에서 바라보면 사람들의 그 개념도 아무 문제가 없다. 그것은 우리 사람들에게 절대로 필요하다. 우리 사람의 역사는 이 세계를 분류하고 분류하며 더더욱 정교하게 분류해온 시간이었다. 그것은 사람이 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기울인 최상의 치열한 노력이다. 그리고 그 정교한 이름표들은 인간 사이의 소통과 인류사 발전에 필수적이고도 지극히 유익하다. 단지 그것에 중독된 나머지 그 이름표들이 하나의 도구임을 잊고 그것을 절대시하고 그것에 침몰되는 과오만 저지르지 않는다면, 이윽고 그것을 놓아야 할 때 주저없이 놓을 수만 있다면, 이름표라는 하인에 끌려다니다가 정신 빠져버리는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존재의 뿌리에 대한 이 절대 긍정감은 언제나 이 몸뚱이 구석에 고여 있던 아지 못할 불만과 울적함을 일시에 날려 보냈다. 이 우주에 그냥 '나'라는 한 몸뚱이로 달랑 떨어져 있다면 도무지 알 길 없는 '너'와 대치해서 도대체 무엇으로 이 '나'를 보호해야 될지 전전긍긍하고 안절부절하다 그만 정신병원 신세를 질밖에 다른 도리는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이 일물은 어쩌다 떨어진 부스러기가 아닌 '본래 온전'임을 보았으니 더이상 충족시켜야 할 그 무엇이 어디에 있는가. 무슨 일을 하든 그것은 그저 즐거운 놀이가 되는 것이다.

 

물론 사람의 일족으로 생겨나 몸과 이름을 지니고 지구의 한철을 살고 있는 이상에야 그 '개념'이라는 도구를 쓰면서 다른 이들과 소통하고 필요한 때면 주장도 하고 비난도 하고 때로는 악과 싸우기도 해야 하리라. 그러나 이 존재계를 제대로 밝게 볼 수 있다면 누군가를 비난해도 그를 증오하지 않을 수 있고, 세상의 이런저런 시속(時俗)을 비판해도 분노 때문에 스스로까지 해치거나 절망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더구나 이 세계에 대한 근원적인 믿음이 없다면야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그리고 생태적으로 많은 위기에 봉착해 있는 이 21세기를 살면서 피곤함과 막막함에 휩쓸려들지 않고 차분하게 어떤 활로를 열어가는 에너지를 어디에서 얻을 수 있을 것인가.

 

'삶의나침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1]  (0) 2012.11.15
장자[220]  (0) 2012.10.11
장자[218]  (0) 2012.09.10
장자[217]  (0) 2012.08.31
장자[216]  (0) 2012.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