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살이의꿈

삶은 단순하고 내 몸은 튼튼하니까

샌. 2013. 10. 15. 13:12

이름난 현사(賢士)의 수사학적 명언보다 평범한 사람의 보통 말에 감동할 때가 있다. 필리핀 시골 마을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고기잡이하며 살아가는 어부가 자신의 행복을 이렇게 표현했다. "삶은 단순하고 내 몸은 튼튼하니까요." '걸어서 세계 속으로'라는 여행 프로그램에서였다.

 

인류가 문명의 혜택을 누리며 살고 있는 건 고작 100여 년 정도밖에 안 된다. 나머지 대부분 기간은 농경을 중심으로 해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았다. 삶은 지금처럼 복잡하지 않았고, 이웃과의 관계는 따스했다. 서로 도우며 상부상조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물질적으로는 부족한 게 많았을지라도 현대적 의미의 가난은 존재하지 않았다. 아무리 풍족해도 과잉 욕망과 상대적 결핍이 빈곤을 생산한다.

 

필리핀 어부가 한 말 속에 인간 삶의 원형이 있다. 단순한 삶에서는 스트레스를 받는 조건이 줄어든다. 건강한 삶이 건강한 육체를 만든다. '삶은 단순하고 내 몸은 튼튼하다'는 말에는 원시의 생명력이 약동한다. <도덕경>에 '허기심 실기복 약기지 강기골(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强其骨)'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머리를 복잡하게 하는 생활을 멀리하고, 몸을 건강하게 하는 생활을 추구하라는 말이다. 필리핀 어부가 노자를 알 리가 없겠지만, 노자나 촌부나 하는 말은 대동소이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는 노자가 권하는 삶과는 정반대다. 문명은 삶을 점점 복잡하게 만들고, 몸은 피곤하고 약하게 한다. 자라나는 아이들을 보면 안다. 우리가 자랄 때에 비해 요즘 아이들은 감당해야 할 과제가 몇십 배로 늘었다. 대신에 몸을 움직일 일은 줄어들었다. 자연 속에서 뛰어놀 기회를 빼앗겼다는 뜻이다. '실기심 약기골(實其心 弱其骨)의 아이들이 양산되는 것이다. 야생의 싱싱함을 찾아볼 수 없다.

 

현대 산업문명이 주는 단맛에 빠지다 보면 생명의 근본을 잊게 된다. 자본주의 속에서 자본주의스럽지 않게 살기 위해서는 적잖은 노력이 요구된다. 다시 노자의 말을 빌리자면 '색기태 폐기문(塞其兌 閉其門)'해야 하는 것이다. 길들여지지 않으려는 저항의 몸짓이 필요하다. 열심히 산다는 게 결국은 타인의 삶을 살아가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비교하고 쟁취하느라 허덕이기보다는 자족의 이 말이 훨씬 더 낫다. "나는 내 삶에 만족해요. 삶은 단순하고 내 몸은 튼튼하니까요."

 

 

'참살이의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슴도치의 가시  (0) 2013.11.12
식사의 품위  (0) 2013.11.04
무사시의 작약  (0) 2013.09.24
친구, 동지, 동무  (0) 2013.09.07
엄마가 아이를 망친다  (0) 2013.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