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본느낌

고백의 형식들

샌. 2022. 11. 8. 09:30

이성복 시인의 산문집이다. 1976년부터 2014년까지 씌어진 글이 모여 있다. 젊은 시절 시인의 고뇌가 오롯이 드러나 보이는 글들이다. 글 쓰는 작업이 마치 오체투지를 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순례자의 여정 같다. 문학은 종교이며, 작가는 수행자에 다름 아니라는 사실을 시인은 보여준다.

 

특히 2004년에서 2013년 사이에 쓴 '공부방 일기'는 치열한 수행 기록이다. 문학이 이토록 진지하고 엄숙한 것인지 두려움마저 인다. 글쓰기는 '사람 되기'와 마찬가지인 것 같다.

 

나 역시 글쓰기는 - 비록 일기라 할지라도 - 자신과 만나는 여정이라고 생각한다. 타인에게는 하찮게 보여도 본인에게는 하나의 우주를 펼쳐내는 것이다. 인간에게는 자신의 내면을 바깥에 드러내려는 욕구가 있는 것 같다. 일종의 인정욕구인지도 모른다. 글쓰기는 다른 예술과 마찬가지로 자신을 드러내면서 자신을 확인하고 앞으로 나아가려는 본능적인 열망이다.

 

<고백의 형식들> 속에 '글쓰기의 비유들'이라는 글이 있다. 지은이가 글쓰기을 일상에 비유해서 설명한 것이다. 무척 재치가 있고 재미있다. 그중 일부를 옮긴다. 

 

 

처음에는 내가 고삐를 당겨 외양간의 소를 끌어내지만, 소를 앞세우고 밭으로 갈 때 내가 할 일은 소가 딴 길로 가려할 때마다 방향을 잡아주는 것뿐이다. 그처럼 처음에는 나의 의도 혹은 착상에서 글을 시작하지만, 이내 글이 가는대로 내맡기고, 다만 너무 멀리 벗어나는 것을 막아 줄 뿐이다.

 

연을 날릴 때는 연실을 짧게 잡고 바람과 반대 방향으로 뛰다 보면 연은 바람을 타고 공중으로 떠오르고, 그러면 내가 할 일은 따로 없고 실패를 풀어주기만 하면 되며, 연이 완전히 하늘에 오르면 연실은 휘늘어져 내려온다. 그처럼 상식적인 생각과 반대 방향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다 보면 이야기는 스스로 풀려나갈 뿐 내가 할 일은 따로 없다. 그리하여 마침내 이야기가 끝날 무렵에는 생의 비감(悲感)의 기울기가 나타난다.

 

글쓰기는 아이들 똥 누는 것처럼 한달음에 이어져야 한다. 배를 누르며 진땀 흘리는 어른들과 달리, 아이들이 화장실에 들어가면 얼마 안 되어 물 내리는 소리가 난다. 그처럼 '행복한' 글쓰기는 말이 말을 물고 나올 뿐 억지로 힘을 쓰거나 애써 조작하지 않는다. 불행한 글쓰기는 '변비'이거나 아니면 '설사'일 때가 많다.

 

밭을 갈 때 힘을 주어 쟁기를 깊이 박아 넣어야지, 그렇지 않으면 고랑이 파이지 않고 밭을 간 것도 아니다. 이를 통해 피상적인 글쓰기와 심층적 글쓰기의 차이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머리에서 짜내는 글쓰기와 몸에서 우러나오는 글쓰기, 의식의 표면에서 새어 나오는 글쓰기와 무의식의 심층에서 솟아오르는 글쓰기.

 

밭을 갈 때는 멀리 보이는 큰 나무를 향해 나아간다고 한다. 똑바로 갈기 위해 발밑을 살피다 보면 밭고랑은 삐뚤삐뚤해진다. 옷감을 끊을 때도 천은 보지 말고 맞은편에서 잡고 있는 사람을 보아야 한다. 글쓰기 또한 눈길을 멀리 두고 나아가야지, 그렇지 않으면 지리멸렬해지기 십상이다.

 

모내기를 할 때는 논에 일주일 이상 물을 가두어 두고 땅이 물렁물렁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러지 않고 이삼 일 만에 모를 심으면 모가 둥둥 뜨게 된다. 그처럼 머리가 아니라 몸에, 의식이 아니라 무의식에 오래 젖어 있는 글쓰기를 하지 않으면 '헛농사'를 짓게 되는 것이다.

 

자전거 타기. 먼저 한 발을 페달에 올리고 밀고 나가다가 속도가 붙으면 다른 쪽 다리를 '휘' 들어 올려 안장에 오른다. 그 동작의 유연함이란! 또한 핸들로 균형을 잡으려면 반드시 페달을 밟아주어야 한다. 글쓰기에서도 의도하는 바를 바로 '들이댈' 수 없으며,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볍고 부드러운 동작이 필요하다.

 

딱지는 아무 데나 힘껏 내리친다고 해서 뒤집어지지 않는다. 딱지의 한 끝을 가까스로 밟을 둥 말 둥 하고 살짝 내리치면 엉겁결에 발라당 뒤집어진다. 급소 혹은 디테일을 살피지 않고 힘으로 밀어붙이는 글쓰기는 다행스러운 결과를 얻기 어렵다. 좋은 글쓰기는 어렵지 않은 글쓰기인데, 그런 글쓰기를 하는 것이 어려울 따름이다.

 

처음 휘파람을 배우는 사람은 아무리 해도 소리가 잘 나지 않는다. 입술을 정확하게 오므리고 혀를 갖다 대어야 소리가 난다. 젓가락질을 처음 해 보는 사람도 뻔히 보면서 따라 할 수가 없다. 글쓰기 또한 어려운 것을 아니지만 반복훈련 없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회초리로 종아리를 때릴 때나 망치로 못을 박을 때는 너무 힘을 주면 안 된다. 반대로 힘을 빼면 힘이 세어진다. 피아노, 붓글씨, 골프 스윙에서도 힘쓰는 것은 금물이다. 몸통의 힘이 손목에서 딱 끊어지기 때문이다. '꾼들'이 화투장을 내리칠 때 짝짝 달라붙는 소리가 나는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패가 더 잘 달라붙는 느낌이 든다. 글쓰기 또한 '달라붙는' 느낌이 있어야 한다.

 

목표가 되는 공을 간접적으로 맞히는 당구의 스리쿠션은 바둑에서 상대를 속이는 성동격서의 전략과 마찬가지로 글쓰기와 닮아 있다. 당구의 고수들은 공을 한 곳에 몰아 놓고 친다고 한다. 그에 비해 초보자는 한 번 치고 나면 공이 사방으로 흩어져 계속하지 못한다. 숙련되지 않은 글쓰기 또한 그러하다.

 

글쓰기는 냇물에 징검돌을 놓는 것과 같다. 돌이 너무 촘촘히 놓이면 건너는 재미가 없고, 너무 멀게 놓이면 건널 수가 없다. 그렇다고 사람이 하는 일이 센티로 잰 듯이 정확히 할 수는 없으니, 때에 따라 조금 가깝거나 멀기 마련이다. 그러나 그 또한 글쓰기의 즐거움이다.

 

글쓰기의 마지막은 '따오기' 노래처럼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에 독자를 빈손으로 돌아가게 함으로써 다시 찾아오게 만들어야 한다. 초콜릿을 선물할 때 껍질을 까서 주는 것은 예의가 아니며, 아무도 이미 씹어 놓은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을 것이다. 선물은 포장을 벗기기 직전까지이다.

 

테니스 서브르 할 때는 무작정 세게 넣으려고 하기보다, 공손하게 절하듯이 해야 한다는 말이 있다. 부드러운 글쓰기는 항상 힘을 가지지만, 부드러운 글쓰기를 위해서는 최대한 힘을 빼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힘있는 사람만이 힘을 뺄 수 있다는 데 있다. 어디서나 강퍅한 동작은 힘의 부족에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

 

글쓰기는 유산소 운동 같아야 한다. 근육에 젖산이 쌓이면 실어 나를 헤모글로빈이 부족하게 되고, 그러면 숨이 헉헉거리면서 등에 땀이 흐른다. 그 순간을 사점(死點, death point)이라 하고, 이 지점을 지나면 제이의 창(second window)이 열리고 한결 수월해진다. '사점'을 통과하지 않은 글쓰기는 뜸이 안 된 밥이나 비등점에 오르지 못한 물과 같다.

 

제대로 된 글쓰기에는 좌석의 안전벨트가 체워졌을 때의 '찰칵' 하는 소리가 들린다. 이 소리가 나지 않으면 벨트가 제대로 채워지지 않은 것이듯이, 제대로 끝난 느낌이 없으면 글쓰기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옛날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이들은 가슴에 큰 손수건을 달았다. 콧물을 닦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그에 비해 영화에 나오는 신사들의 양복 앞주머니에는 아주 살짝 손수건이 보인다. 그처럼 주제가 드러나 보이는 방식도 글쓰기의 수준에 따라 다르다.

 

글쓰기는 젖은 걸레를 짜듯 쥐어짜는 것이다. 아래서부터 위로 밀어 올리며 치약을 짜듯, 혹은 손아귀의 힘을 다해 약재를 담은 삼베를 비틀어 짜듯, 글쓰기는 대상의 의미를 남김없이 끌어내야 한다. 요컨대 글쓰기가 짜고 나서도 물이 흥건한 행주 같아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어떤 바닷게는 따개비가 몸속에 들어와 알을 낳으면 제 알인 줄 알고 키우기 때문에 따개비로 분류된다고 한다. 그처럼 글쓰기는 글 쓰는 사람의 몸을 빌려 '인생'이 하는 것인데, 글 쓰는 사람은 자신이 하는 것으로 안다.

 

콘크리트 벽에 못을 박기 위해서는 먼저 전동 드릴로 구멍을 내야 한다. '인생'이라는 벽에 구멍을 뚫는 글쓰기는 '살아내려는 의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바로 그 때문에 글쓰기는 비유이고 발견이며 깨달음일 수 있다.

 

어쩌다가 명치끝을 얻어맞으면 순간적으로 너무 아파 소리를 지를 수 없고 숨쉬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글쓰기도 반드시 읽는 사람의 명치끝을 내지르는 것 같아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인생을 왜곡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인생이 본래 그렇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모든 비유들은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다. 이 비유들을 알든 모르든 모든 글쓰기는 그 위에서 진행될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비유들을 자꾸 의식하게 되면 몸에서 머리로 돌아가는 글쓰기가 될 것이다. 기도하기 위해 손을 모으려면 손안에 쥔 것이 없어야 한다. 그러나 이 또한 비유에 그칠 뿐이다.

 

'읽고본느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도의 탄생  (0) 2022.11.23
다만 죽음을 곁에 두고 씁니다  (1) 2022.11.15
모든 것은 그 자리에  (0) 2022.11.02
인섬니악 시티  (0) 2022.10.27
정치적 부족주의  (0) 2022.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