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위의단상

우리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샌. 2009. 10. 9. 09:36

지금의 한국 사회를 읽는 키워드가 '불안'과 '욕망'이라는데 동의한다. 좀더 강렬한 용어를 쓰면 '공포'와 '탐욕'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적 경제 위기나 미래에 대한 불안은 전세계적 현상이겠으나 유독 한국에서는 그에 대한 원초적 반응이 심한 것 같다. 불안과 공포는 사람들을 더욱 돈과 안정된 직장에 집착하게 만들고 이기적 욕망을 확대 재생산한다. 한국의 과잉 교육열도 기본적으로는 그에 기인한다고 본다. 사람들은 마치 주술에 걸린것처럼 '공포'와 '탐욕'의 대열에 망설임 없이 동참한다.

 

숲속에서는 숲을 보지 못한다. 우리 자신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숲을 벗어나서 조망해야 한다. 불편하고 거북할지라도우리 자신의 모습을 직시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마침 한국 사회를 진단하는 강연회가 있었다. 다음은 김규항 님의 강연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

 

현재 한국을 살아가는 아이들을 보면 민주화가 이뤄 진 것은 분명합니다. 내가 초등학교를 다니던 때, 잠깐 동안은 거수경례를 했어요. 학생과 교사가 서로 마주보며 경례를 하고, 이렇게 구호를 외쳤죠. "건설합시다." 더러운 세상이었죠. (웃음) 거기에 모든 남자 교사는 폭력 교사였고, 여자 교사라고 해서 낫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금 초등학교는 그렇지 않습니다. 함부로 때리는 교사도 없고, 경례는 상상할 수도 없지요.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민주화를 이룬 셈이죠. 하지만 실제 아이들이 생활하는 모습은 나의 초등학교 때 모습보다 못하다고 느껴지는 건 왜일까요?


나의 초등학교 시절, 오후 3시에 소재가 확실하게 확인되는 아이는 벌을 받는 아이거나 아파서 병원에 있는 아이였습니다. 나머지는 저녁 때 엄마가 밥 먹으라고 찾기 전까지 놀기 바빠 어디에 있는지 아무도 몰랐죠. 하지만 지금 초등학생이 오후 3시에 소재 파악이 되지 않으면 사고가 났다고 판단하는 세상이 되어버렸습니다. 세상이 험해져서? 아닙니다. 아이들의 공부 스케줄이 빡빡하게 짜여 있기 때문입니다. 초등학생이 이렇게 생활하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 밖에 없습니다. 민주화는 됐는데 아이들이 군사시대보다 더 참혹하게 살고 있는 셈입니다. 정치 민주화만 보고 있기에 놓치는 부분입니다.


김대중, 노무현 10년 동안의 정치적 민주화는 (시민들에게) 정치적 자유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자본에게도 자유를 가져다 줬습니다. 생각해 보세요. 어른들의 삶도 아이들의 삶과 다르지 않습니다. 민주화는 진행됐는데 우리 삶은 더 고단하고 바쁘지요. 이명박 씨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지금 욕하고 있는 이명박 씨를 우리 스스로가 닮아가고 있어요. 우리 안에도 이명박 씨가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이명박 씨가 우리에게 하는 모습과 우리가 아이들에게 하는 모습이 똑같지 않습니까. 우리는 이명박 씨가 다스베이더, 케로로 중사처럼 외계에서 우리를 괴롭히기 위해 침입해온 존재라고 생각하고 싶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그는 투표로 뽑힌 대통령입니다. 그 사람이 우릴 괴롭히기 위해서 이렇게 하고 있다는 것은 순진한 생각입니다. 그 역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의 가치관과 철학이 잘못됐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 겁니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교육을 위해 우리가 '어쩔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이나 이명박 씨가 한국 사회의 미래를 위해 고통이 있더라도 어쩔 수 없다고 하는 것이랑 무엇이 다른가요? 다를 바가 없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을 욕하는 부모들도 정작 자신의 아이들을 경쟁력 있게 키우는 데 목을 메고 있습니다. 결국 부모가 아이를 경쟁력 있게 키우고 싶어 하는 것은 아이들이 돈을 많이 벌고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렇다보니 현재 한국 사회는 일류대학으로만 몰리는 불균형에 시달리는 것이 현실이지요. 똑같이 이건희를 욕하지만 이건희가 지향하는, 즉 돈에 대한 욕망은 한국의 모든 사람이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가 단지 돈이 없는 이건희일 뿐이라면, 이건희를 욕하는 것은 그의 돈 많음을 시샘하는 것뿐이지요.


얼마 전 김상봉 선생이 "일류대학을 향한 한국 부모들의 탐욕은 놀랍다"라고 말씀하시는 걸 들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엔 지금 부모들의 대학입시에 대한 집착은 탐욕이 아니라 공포입니다. 공포에 사로잡혀 이성도 판단력도 잃어버린 거죠. 한국은 재난영화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공포의 근간에는 '내가 가난하다'는 의식이 깔려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일순간에 바보같이 변합니다. 이명박 씨가 경제를 살리겠다는 것 하나로 대통령이 된 것도 시민들 스스로에게 가난하다는 공포가 작용됐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정작 이런 사람들은 먹고 살만한 사람들입니다. 누가 봐도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현실이 어렵다. 우리 아이들이 잘 살았으면 좋겠다' 식의 말들을 합니다. 가난하다는 공포의 근간에는 좀 더 잘살고 싶다는 '욕망'이 내재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대기업을 다니는 이들도 안정에 대한 공포가 있습니다. 심지어 내가 아는 변호사 부부도 미래를 불안해합니다. 은행 잔고가 0인 사람은 걱정이 없습니다. 돈이 없으니 걱정할 것도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은행 잔고에 100만 원이 있다가 80만 원으로 내려가면 불안해 집니다. 가난하다는 생각, 모자란다는 생각이 가난과 불안을 만들어냅니다.


결국 돈이 중심이 되는 현재 한국 사회의 패러다임을 깨뜨려야 합니다. 하지만 시민들 대부분이 돈 중심의 패러다임이 잘못된 것을 알고는 있지만 그것을 깨기 위한 실천에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고 있는 것이 현실이이기도 합니다. 사교육과 무한경쟁에 반대하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사가 자신의 아이가 돈을 많이 벌어 잘 살았으면 하는 바람으로 자식을 사교육 현장에 내보내는 사회가 바로 한국 사회이니까요.


좌파와 우파의 차이가 뭔지 아세요? 우파는 자신의 아이를 떳떳하게 사교육 현장에 보내고 좌파는 부끄러워하며 보낸다는 점입니다. (웃음) 우리가 생각해야 할 부분은 좌파니깐 사교육 시키면 안 된다는 것이 아니라, 도대체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것인가를 이제 고민해야 합니다. 좌파들은 자신의 아이가 좋은 일류대학에 가서 진보적인 엘리트가 되기를 바랍니다. 욕심도 많지요. 노동운동하는 사람이 아이가 노동자나 민중이 되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물론 모든 부모는 자기 아이가 가장 잘 살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을 해야 하는데 문제는 잘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소수 부자들이 잘산다는 관념을 모든 이가 가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어떤 삶이 더 충만하고 행복한 삶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가난하다는 의식이 가난하다는 것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마음을 편하게 하면 오늘의 삶에 감사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사람들이 오히려 불행하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대기업을 다니다 그만둔 후배 얘기를 해볼게요. 처음에는 아주 불안해 하더군요. 하지만 지금은 훨씬 더 행복하다고 합니다.


한국 사회를 뒤덮고 있는 이 탐욕의 굴레를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요? 간단합니다. 욕심을 버린다면 길들여진 삶을 벗어난 삶은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얼마든지 잘 살 수 있습니다. 그것이 훌륭하게 사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것은 훌륭해서가 아니라 즐겁고 편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해본 사람들의 증언이 '잘했다, 좋다, 안 죽는다.' 등입니다. 다들 겁내지 마십시오. 용기를 내십시오.


'길위의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말라야를 포기하다  (1) 2009.10.15
미누  (0) 2009.10.14
위장전입  (0) 2009.10.01
한국 교육의 그늘  (2) 2009.09.27
스트레스 받을까봐 시험 날짜가 비밀  (0) 2009.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