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살이의꿈

우울한 한국

샌. 2024. 2. 6. 11:53

미국의 인기 작가이자 유튜버인 마크 맨슨이 얼마 전에 우리나라를 방문했다. 그가 '우울한 한국'이라는 주제로 유튜브에 올린 영상이 화제가 되어서 찾아보았다. 마크 맨슨이 내린 진단이 특별한 것은 아니었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내용을 종합적으로 짜깁기해 놓은 느낌이 들었다.

 

영상 제목이 '나는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를 여행했다[I Traveled to the Most Depressed Country in the World]'로 자극적이다. 이를 증명하는 것이 자살률인데 한국은 10만 명당 25명이 자살하여 OECD 국가 중 최고로 높다. 특히 노인 자살률과 빈곤율은 다른 나라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심각하다. 낮은 출생률 또한 우울한 한국을 드러내주는 징표다.

 

마크 맨슨은 여러 사람을 인터뷰하며 원인을 말한다. 우선은 교육을 비롯한 사회 시스템 전체에 스며든 경쟁주의/일등주의에 있다. 가혹한 경쟁 시스템 속에서는 0.1%를 제외한 나머지는 루저이고 불안과 우울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된 데는 생존이 우선이었던 한국의 근대사를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생존하고 잘 살아야 한다는 것이 지상 목표가 되면서 개개인에게 가해진 압박감에서 한국 사회는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통계를 보면 한국인은 행복한 삶의 조건으로 돈, 건강, 인간관계 순으로 꼽는다. 반면에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건강, 인간관계, 돈 순이다. 그만큼 한국 사회는 물질주의에 젖어있다. 공동체의 따스한 유대감 대신에 나만 잘 살고 보자는 이기주의가 팽배하다. 모두 부자가 될 수는 없으니 다수가 불행한 절망의 사회가 되는 것이다. 

 

유교 문화와 자본주의의 단점이 유독 한국 사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마크 맨슨은 말한다. 유교의 장점인 가족애와 협동, 사회적 친밀도는 사라지고, 단점인 타인과의 비교나 체면이 중요시된다. 내 존재의 의미는 타인과 비교해서 얼마나 앞서 있느냐로 판단한다. 서양의 개인주의는 타인의 시선에 아랑곳없이 내 식대로 살아간다. 내 삶의 기준은 내가 되어야 하는 게 마땅하다. 성형 수술 역시 세계 1위인 곳이 한국이다. 또한 위계에 따른 수직 문화는 삶의 자율성과 통제력을 약화시키고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그렇다고 한국의 미래가 어둡다고만 할 수는 없다. 세계에서 가장 도전적이고 역동적인 나라 역시 우리나라다. 경제적 발전만 아니라 한국에서 생산한 문화 예술 콘텐츠들이 세계를 휩쓸고 있다. 영상의 끝에서 마크 맨슨은 한국의 역동성을 칭찬하며 한국이 가진 회복력에 믿음을 보낸다. 한국인들은 자신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찾으려 해 놀랐다고 말한다. 역사적으로 고난과 도전에서 길을 찾고 이겨낸 한국이 지금과 같은 실존적 위기 상황도 잘 헤쳐나가리라고 결론짓는다.

 

문제와 원인을 알면 해결책이 나온다. 해결책을 안다면 그 뒤부터는 의지와 결단의 영역이다. 그러나 양 진영으로 나뉜 한국 사회는 갈팡지팡이다. 가진 자들은 지금 이대로가 좋다고 내심 바랄지 모른다. 위기의 한국이 나아갈 바른 좌표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마크 맨슨은 우리 같은 절실한 마음이 아니라 제삼자의 시선으로 한국을 봤을 뿐이다. 하지만 우리 발등에는 이미 불이 떨어졌다. 공동체 행복의 비상등은 오래 전에 불이 들어왔다. 우리의 미래는 누구 손에 달려있을까? 솔직히 말해 노년층은 틀려 먹은 것 같고, 우리 사회를 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갈 각성한 젊은이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살이의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음을 결정할 권리  (1) 2024.03.09
작은 즐거움으로 슬픔을 덮고  (0) 2024.02.21
좌통  (0) 2024.01.06
[펌] 도구적 영성  (0) 2024.01.04
사람을 만나고 오면 쓸쓸해진다  (2) 202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