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감내해야 할 생로병사의 굴레를 여실히 보여주는 영화다. 중년 남자인 데이비드는 말기 환자를 헌신적으로 보살피는 돌보미다. 환자와 가족 이상으로 일체가 되어 고통을 함께한다. 환자를 자기 아내나 형으로 지칭할 정도다. 데이비드 같은 호스피스와 마지막을 함께 할 수 있다면 죽음도 두렵지 않을 것 같다.
영화에는 설명이 안 나오지만 데이비드가 돌보미의 삶을 사는 데는 아픈 과거가 있다. 아들의 죽음을 계기로 가정은 붕괴되었다. 스스로 아들을 안락사시킨 것으로 보인다. 타인의 죽음에 동행자가 되려는 봉사는 그런 죄책감에서 나오지 않았나 추측된다. 데이비드는 세 번째 환자에게도 안락사 시술을 한다. 그것이 결국 영화의 충격적인 마지막 장면과 연결된다.
병들고 죽는 건 인간의 숙명이다. 많은 사람이 죽음에 이르는 과정에서 극심한 고통을 겪는다. 개인이 그 짐을 감당하기에는 너무 벅차다. 데이비드도 그런 희생자 중 한 사람이다. 영화는 병들어 고통받는 환자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그것이 나일 수도 있기에 남의 일로 보이지 않는다. 타인의 죽음을 통해 내 죽음을 생각한다.
어떻게 죽느냐의 문제는 어떻게 사느냐와 연관되어 있다고 한다. 죽음의 과정을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그 사람이 얼마나 잘 살았느냐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잘 죽기 위해서는 지금 잘 살아야 한다. 편안하게 감사하며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사람이 잘 산 사람이다.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서는 본인은 물론 가족과 사회의 책임도 중요한 건 물론이다.
사람들이 죽음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죽음에 이르는 과정이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도 호스피스의 도움을 받는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다. 이젠 죽음을 터부시할 게 아니라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인간답게 품위 있게 죽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향으로 관점을 바꿔야 한다. 안락사 문제를 포함해서 죽음의 문제가 이젠 공론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크로닉>은 탁구 팀원과 씨네큐브에서 보았다. 극장에서 나와 치맥으로 중화시켰으나 며칠간 우울한 기분이 가시지 않았다. 어떻게 살고, 어떻게 죽을지, 해독하기 힘든 난제다.
이 영화를 보고 나니 전에 감상했던 <스틸 라이프>가 생각났다. 두 영화는 매우 닮았다. <스틸 라이프>에서 주인공 직업은 독거노인의 고독사 장례를 치러주는 공무원이다. 이 사람도 정성을 들여 고인을 추모하며 떠나 보낸다. 남은 가족을 찾아 유품을 전달하기도 한다. 그런데 마지막은 역시 불의의 교통사고다. 허무하게 생이 끝난다. 삶의 쓸쓸함이 진하게 묻어나는 두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