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속일상

화암사와 대둔산

샌. 2020. 10. 21. 12:35

전주에 다녀오는 길에 완주를 지나다가 우연히 화암사(花巖寺)로 들어가는 안내 간판을 보았다. 안도현 시인이 찬탄한 바로 그 '잘 늙은 절, 화암사'라는 생각이 떠올라 핸들을 돌려 화살표를 따라 찾아갔다. 억지로 애쓰지 않아도 이런 기회가 마중 오기도 하는구나. 시인의 글을 다시 찾아 읽어본다.

 

잘 늙은 절, 화암사 / 안도현

 

절을 두고 잘 늙었다고 함부로 입을 놀려도 혼나지 않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 나라의 절 치고 사실 잘 늙지 않은 절이 없으니 무슨 수로 절을 형용하겠는가. 심지어 잘 늙지 않으면 절이 아닌 것처럼 여겨지는 심사도 무의식 한쪽에 풍경처럼 매달려 있는 까닭에 어쩔 수가 없다. 잘 늘었다는 것은 비바람 속에서도 비뚤어지지 않고 꼿꼿하다는 뜻이며, 그 스스로 역사이거나 문화의 일부로서 지금도 당당하게 늙어가고 있다는 뜻이다.

 

화암사가 그러하다. 어지간한 지도에는 그 존재를 드러내고 밝히기를 꺼리는, 그래서 나 혼자 가끔씩 펼쳐보고 싶은, 작지만 소중한 책 같은 절이다. 십여 년 전쯤에 우연히 누군가 내게 귓속말로 일러주었다. 화암사 한 번 가보라고, 숨어 있는 절이라고, 가보면 틀림없이 반하게 될 것이라고.

 

당시만 해도 화암사를 찾아가는 길은 반듯하지 않았다. 전주에서 대둔산으로 가는 국도를 타고 가다가 완주군 경천면 소재지 근방에서 오른쪽으로 꺾는 길을 찾는 것도 몇 차례 두리번거려야 가능한 일. 그러고도 작은 마을과 논밭 사이로 난 구불구불한 길을 놓치지 않아야 했다. 사람살이의 나지막한 풍경들을 다 살펴보고 찾아오라는 듯 화암사는 그렇게 꼭꼭 숨어 있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화암사로 가는 길. 4월, 좁다란 숲길 한쪽에 가도 가도 얼레지 꽃이 지천이었다. 바람난 처녀처럼 꽃잎을 까뒤집은 꽃. 그들도 해마다 이맘때쯤이면 절 구경하러 산을 올라가는가 싶었다. 그러다가 어느 때는 길이 뚝 끊기고 계곡이 앞을 가로막기도 하고, 막혔다 싶으면 외나무다리가 길을 다시 이어주기도 한다. 마을을 지나올 때의 흙먼지를 잊어먹을 만큼 걷다가 보면 이번에는 벼랑이 턱하니 발길을 가로막는다. 벼랑에다 세운 철제 다리를 타고 올라가야 한다니! 문득 화암사가 구름 속에 주춧돌을 놓고 지은 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절 입구에 있을 법한 일주문도 사천왕상도 없이 경내로 들어서려면 작은 문 하나를 통과해야 한다. 잊을 수 없다. 세월에 닳은 문턱을 처음 넘어설 때, 나는 마치 어릴 적 외갓집 대문을 넘어 마당으로 발을 들여놓을 때와 똑같은 느낌을 받았던 것이다. 실제로 ㅁ자형 구조를 가진 경내로 들어가면 그곳은 절이 아니라 여염집의 편안한 안마당에 서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그때의 적막은 또 얼마나 큰 위안인가.

 

전에는 거기에 두 마리의 흰둥이가 살았는데 지금도 그 아들이나 손자뻘 되는 녀석이 있는지 모르겠다. 그 녀석들은 뒷산 다람쥐가 도토리 굴리는 소리까지 훤히 다 듣는 듯했다. 그 소리를 듣고는 쌩 하니 달려갔다가 소득 없이 터덜터덜 돌아오는 모습이 지금도 눈에 어른거린다.

 

 

주차장에 차를 멈추고 걸어올라가야 마땅하건만, 시간이 촉박하다는 핑계로 그냥 직진했다. 이건 화암사에 대한 모독이라는 걸 나중에야 알아챘다. 계곡을 따라 걸어올라가는 길이는 700m다. 느릿느릿 걸어도 30분이면 넉넉하다. 나는 네비에 찍힌 찻길 거리 2km를 걸어야 하는 줄 착각했으니, 제대로 살피지 못한 내 불찰이었다.

 

단청불사라는 어설픈 단장을 외면한 채 잘 늙어가는 절이 그곳에 있었다. '스스로 그러함[自然]'이 무엇인지, 그 아늑함과 편안함을  말없이 보여주는 절이 화암사다. 

 

 

우화루(雨花樓)는 절의 전면에 있는 건물이다. 광해군 3년(1611)에 세워졌다.

 

 

일견 투박하지만 볼수록 정겨운 우화루의 목어.

 

 

 

우화루와 마주보고 있는 극락전(極樂殿)은 선조 38년(1605)에 지은 것이다. 대웅전 대신 극락전이라는 명칭이 특이하다. 하앙식(지붕과 기둥 사이에 긴 목재를 놓은) 구조물로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다. 국보 제316호다. 

 

 

화암사 건물 배치는 ㅁ자 구조여서 절집이라기보다는 여느 일반인의 가옥 같은 느낌이다. 흔한 탑도 눈에 띄지 않는 등 종교적 색채가 옅은 점이 색다르고 신선하다.

 

 

 

 

불명산 화암사는 고향집 사랑방처럼 편안하다.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절 주변 진입로가 공사중이라 어수선하고 기계 소음이 심했다. 다음에 찾아와야 할 명분이 하나 더 생긴 셈이다. 화암사, 우화루 모두 '꽃 화[花]'자가 들어간다. 이른 봄 복수처부터 얼레지가 필 때를 맞춰 찾아와야겠다. 두 꽃을 보기 위해서는 그때는 응당 걸어올라와야겠지.

 

인간세(人間世) 바깥에 있는 줄 알았습니다

처음에는 나를 미워하는지 턱 돌아앉아

곁눈질 한번 보내오지 않았습니다

 

나는 그 화암사를 찾아가기로 하였습니다

세상한테 쫓기어 산속으로 도망가는 게 아니라

마음이 이끄는 길로 가고 싶었습니다

계곡이 나오면 외나무다리가 되고

벼랑이 막아서면 허리를 낮추었습니다

 

마을의 흙먼지를 잊어먹을 때까지 걸으니까

산은 슬쩍, 풍경의 한 귀퉁이를 보여주었습니다

구름한테 들키지 않으려고 구름 속에 주춧돌을 놓은

잘 늙은 절 한 채

 

그 절집 안으로 발을 들여 놓는 순간

그 절집 형체는 이름도 없어지고

구름의 어깨를 치고가는 불명산 능선 한 자락 같은 참회가

가슴을 때리는 것이었습니다

인간의 마을에서 온 햇볕이

화암사 안마당에 먼저 와 있었기 때문입니다

나는, 세상의 뒤를 그저 쫓아다니기만 하였습니다

 

화암사, 내 사랑

찾아가는 길을 굳이 알려주지는 않으렵니다

 

- 화암사, 내 사랑 / 안도현

 

 

 

단풍이 얼마나 들었을까, 대둔산이 궁금했다. 대둔산은 대학 시절 친구와 무전여행 흉내를 내며 충청도를 돌아다닐 때 올랐던 산이다. 정확하게 46년 전이다. 이제는 케이블카를 타고 오른다.

 

 

대둔산 입구에는 음식점과 기념품점이 즐비하다. 여기서 비빔밥으로 점심을 먹었다.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케이블카는 50인승인데, 절반 정도 찼다.

 

환경 훼손 때문에 케이블카는 반대했는데, 막상 노인이 되고 보니 이런 시설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나중에 다리 힘이 더 없어지면 높은 산에서 바라보는 풍광을 어떻게 즐길 수 있겠는가. 우리가 탄 케이블카에도 장애인 단체에서 나온 분들이 함께 하며 나들이를 만끽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케이블카에서 내리면 가까이에 있는 이 금강구름다리를 건너볼 수 있다.

 

 

 

 

 

대둔산 정상부는 암봉 풍경이 일품이다. 금강구름다리 부근의 단풍은 한창때로 접어드는 것 같은데 색깔이 그리 맑지는 않다. 어쨌든 올해의 첫 단풍 구경이었다.

 

뒤이어 요광리 은행나무를 찾아보고, 추부IC에서 고속도로를 타고 귀가했다. 뜻하기 않게 화암사까지 만나본 뜻깊은 하루였다.

'사진속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깨를 수확하다  (0) 2020.10.27
청계산길을 걷다  (0) 2020.10.23
가을물 드는 뒷산  (0) 2020.10.14
성지(27) - 홍유한 유적지  (0) 2020.10.12
고향에 다녀오다  (0) 202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