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나침반

금강경[3]

샌. 2019. 12. 12. 10:26

부처님께서 수보리 장로에게 말씀하셨네.

"수보리여, 위 없이 바른 깨달음에 마음 낸 보살들은 이와 같이 제 마음을 다스려야 할 것입니다.

 

'나는 세상의 온 생명을 다 행복하게 살게 하리라. 알에서 태어난 생명도, 태에서 태어난 생명도, 물기에서 태어난 생명도, 문득 바뀌는 몸으로 태어난 생명도 번뇌 다한 열반 속에서 다 행복하게 살게 하리라. 몸이 있는 생명도, 생각이 있는 생명도, 생각이 없는 생명도, 생각이 있지도 없지도 않은 생명도 번뇌 다한 열반 속에서 다 행복하게 살게 하리라. 이와 같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중생을 다 행복하게 살게 하되 나는 한 중생도 행복하게 살게 해 준다는 마음이 없이 다 행복하게 살게 하리라.'

 

무슨 까닭이겠습니까? 수보리여. '스스로 있는 나'가 있다는 생각, '죽지 않는 나'가 있다는 생각, '바뀌지 않는 나'가 있다는 생각, '숨 쉬는 나'가 있다는 생각, 이와 같은 생각으로 살아가는 보살은 보살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금강경 3(깨달은 삶이란, 大乘正宗分)

 

 

벼락같은 가르침이 내리친다. <금강경>에서 '금강'이라고 번역된 단어의 원래 의미는 '벼락'이라고 한다. 수보리의 질문에 답하는 부처님의 말씀이 벼락처럼 꽂힌다. 그저 얼떨떨할 뿐이다.

 

부처님의 '나'가 없다는 선언은 힌두교의 가르침에 반하는 사고의 전복이다. 힌두교 서적을 보면 '아트만'이라는 말이 자주 나오는데 내 속의 '참 나'를 강조한 것이다. 부처님은 이를 벼락처럼 깨뜨렸다.

 

그러한'나 없는 나[無我]'는 무슨 뜻인가? 생각하고 판단하고 고뇌하는 '나'가 여기 분명히 있지 않은가. 본질로서의 '나', 영속하는 성질의 '나'가 없다는 의미인가. '나' 역시 찰나적으로 변하는 현상의 일부일 뿐인가. 내 머리로는 헤아릴 길이 없다.

 

더 나아가면 부처님이 설파하신 존재의 근원에 대한 의문은 현대물리학과 통하는 바가 있다. 사물의 근원으로서의 실체를 인정하는 물리학자는 이제 없다. 얼마 전에 양자물리학자가 쓴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라는 책을 읽었는데 부처님의 가르침과 닮은 데가 많았다. '양자장'을 '인연'으로 해석해 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다.

 

<금강경>의 핵심이 바로 이 분(分)에 있지 않나 싶다. 언어와 개념으로 깨달음에 이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도 붙잡고 있을 화두는 하나다. "나 없는 나!"

'삶의나침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5]  (0) 2019.12.27
금강경[4]  (0) 2019.12.19
금강경[2]  (0) 2019.12.01
금강경[1]  (0) 2019.11.25
논어[357]  (0) 2019.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