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위의단상

지구 - 창백한 푸른 점

샌. 2020. 2. 22. 13:06

인간이 만든 물체 중 가장 멀리 나아가고 있는 것이 보이저 1호다. 보이저 1호(Voyager 1)는 1977년 9월에 발사되어 1990년에 명왕성을 지났고, 지금은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공간을 여행 중이다. 현재 위치는 지구에서 약 150AU(220억km) 떨어져 있다. 태양계 지름의 두 배에 해당하는 거리다.

 

보이저 1호는 명왕성을 지날 때 태양계 끝에서 본 지구 사진을 찍었다. 1990년 2월이었으니 꼭 30년 전이다. 지구에서 60억km 밖에서 본 우리 지구 사진인데, 이 희미하게 빛나는 영상을 칼 세이건은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이라고 명명했다.

 

촬영 30주년을 맞아 이 사진이 다시 주목 받고 있다. NASA에서는 옛 사진을 더 선명하게 보이도록 보정하여 다시 발표했다.

 

 

보일락말락 희미하게 보이는 점이 우리 지구다. 이 사진을 보며 칼 세이건은 이런 말을 남겼다.

 

"저 점을 보라. 저것이 우리의 고향이다. 저것이 우리다. 당신이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 당신이 아는 모든 이들, 예전에 삶을 영위했던 모든 인류들이 바로 저기에서 살았다. 우리의 기쁨과 고통의 총량, 수없이 많은 그 강고한 종교들, 이데올로기와 경제 정책들, 모든 사냥꾼과 약탈자, 영웅과 비겁자, 문명의 창조자와 파괴자, 왕과 농부, 사랑에 빠진 젊은 연인들, 아버지와 어머니들, 희망에 찬 아이들, 발명가와 탐험가. 모든 도덕의 교사들, 부패한 정치인들, 모든 슈퍼스타, 최고 지도자들, 인류 역사 속의 모든 성인과 죄인들이 여기 햇빛 속을 떠도는 티끌 위에서 살았던 것이다.

 

지구는 우주라는 광막한 공간 속의 작디작은 무대다. 승리와 영광이란 이름 아래, 이 작은 속은 한 조각을 차지하게 위해 수많은 장군과 황제들이 흘렸던 저 피의 강을 생각해 보라. 이 작은 점 한구석에 살던 사람들이, 다른 구석에 살던 사람들에게 보여주었던 그 잔혹함을 생각해 보라. 얼마나 자주 서로를 오해했는지, 얼마나 기를 쓰고 서로를 죽이려 했는지, 얼마나 사무치게 서로를 증오했는지를 한 번 생각해 보라.

 

이 희미한 한 점 티끌은 우리가 사는 곳이 우주의 선택된 장소라는 생각이 한갓 망상임을 말해주는 듯하다. 우리가 사는 이 행성은 거대한 우주의 어둠에 둘러싸인 한 점 외로운 티끌일 뿐이다. 이 어둠 속에서, 이 광대무변한 우주 속에서 우리를 구해 줄 것은 그 어디에도 없다. 지구는, 지금까지 우리가 아는 한에서, 삶이 깃들일 수 있는 유일한 세계다.

 

가까운 미래에 우리 인류가 이주해 살 수 있는 곳은 이 우주 어디에도 없다. 갈 수는 있겠지만, 살 수는 없다. 어쨌든 우리 인류는 당분간 이 지구에서 살 수밖에 없다. 천문학은 흔히 사람에게 겸손을 가르치고 인격 형성을 돕는 과학이라고 한다. 우리의 작은 세계를 찍은 이 사진보다 인간의 오만함을 더 잘 드러내주는 것은 없을 것이다.

 

이 창백한 푸른 점보다 우리가 아는 유일한 고향을 소중하게 다루고, 서로를 따뜻하게 대해야 한다는 자각을 절절히 보여주는 것이 달리 또 있을까."

 

보이저 1호는 지금도 광막한 우주 공간을 뚫고 고독한 항해를 계속하고 있다. 아마 다른 돌발변수를 만나지 않는 한 영원히 우주 공간을 배회할 것이다. 자기를 만든 호모 사피엔스보다 훨씬 오래 살아남을 것은 분명하다. 아주 멀고 먼 미래에 우주의 또 다른 티끌에 살고 있을 어느 종족이 보이저 1호와 대면할지 모른다. 그들이 보이저 1호에 적힌 암호를 해독한다면, 아주 멀고 먼 과거에 지구라는 별에 살았던 폭력적인 종족을 기억해 낼 수 있을까. 서로를 사무치게 증오하다가 결국은 제 사는 터전마저 파괴하고 사라져 간 한 가련한 종족을.

 

'길위의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방 격리  (0) 2020.03.06
릴라 아가씨와 바둑 두기  (0) 2020.03.01
다람쥐가 되어 간다  (0) 2020.02.06
설날 세 장면  (0) 2020.01.27
타이젬 4단  (0) 2020.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