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위의단상

진공묘유(眞空妙有)

샌. 2021. 4. 14. 09:51

30대 후반에 붓글씨를 배운 적이 있다. 동네 서예학원에 다니다가 좀 더 이름 있는 선생한테 배운다고 모 신문사 문화센터에 들어갔다. 가르치던 선생은 국전 특선 등 다양한 경력을 자랑하는 분이었다. 이 분은 서예 외에도 역사적 사건에 얽힌 배경을 설명하고 수강생의 관상을 봐주는 등 강의를 재미있게 진행했다.

 

날 보고는 젊을 때는 그늘에 가려져 있지만 50이 넘으면 빛을 본다고 잔뜩 희망 섞인 덕담을 했다. 결과적으로 빛 본 것 하나 없지만 들을 때는 기분 좋은 말이었다. 하여튼 이 분은 언행을 통해 자신이 뭔가 있어 보이게 만드는 특출한 재주가 있었다. 수강생들에게 꽤 인기가 있었던 강의였다.

 

몇 달 다니지 않아서였다. 서예 전시회를 한다고 하나씩 작품을 만들라고 했다. 초보인데 벌써 무슨 작품이냐고 손사래를 쳐도 괜찮다고 하면서 나에게 준 글씨가 '진공묘유(眞空妙有)'였다. 선생이 준 글씨를 그대로 따라서 똑같이 쓰는 연습을 수백 번 했다. 그러나 기초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데 글씨 틀이 잡힐 리가 없었다. 엉터리 글씨를 화려한 액자에 끼워 난생처음 작품 전시라는 걸 해 봤다. 액자 값과 참가비도 만만찮았다. 선생과 다른 회원의 들러리 역할이었다는 건 전시가 끝나고 눈치챘다.

 

그 뒤로 '진공묘유'라는 글귀를 만나면 30년 전의 문화센터 시절이 생각난다. 그런데 '진공묘유'가 무슨 뜻인지 모르기는 그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선생한테 설명을 들었겠지만 제대로 이해를 못했으니 기억에 남아 있을 리가 없다. 나름대로 뜻을 유추해 보지만 아직도 난해하긴 마찬가지다. 우선 '진(眞)'과 '묘(妙)'에서 막힌다.

 

'공(空)'과 '유(有)'는 어렴풋이나마 그런가 보다 할 수 있다. <반야심경>의 '공즉시색(空卽是色)' '공불이색(空不異色)'이라는 말이 워낙 눈에 익어서다. 색(色) 즉 유(有)의 세계에서 공성(空性)을 보라는 가르침으로 나는 어설프게 이해한다. 그런데 '공' 앞에 붙은 '진'과 '유' 앞에 붙은 '묘'는 무어란 말인가. 그저 강조하기 위한 의미의 접두사만은 아닐 터이다.

 

뒷날 양자역학 책을 보다가 아하, 하고 무릎을 친 적이 있다. '진공묘유'를 철저히 물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어서였다. 고전물리학에서 '진공'은 어떤 물질이나 에너지도 없는 상태다. 양자론은 진공을 다르게 본다. 진공에서도 미세한 양자요동이 일어나고, 찰나적 현상이지만 입자와 반입자의 생성소멸이 반복된다. 멀리서 보면 고요해 보이는 바다도 가까이서 보면 잔물결이 쉼 없이 생겼다 없어졌다 하는 것과 비슷하다. 그런 상태를 표현하는 말로 '진공묘유'가 딱 적당해 보인 것이다. 양자요동을 '묘유'라고 표현하면 절묘하다. 물론 나만의 아전인수식 해석이다.

 

불교가 설명하는 세계상과 양자론은 닮은 데가 많다. 공(空), 무상(無常), 무아(無我), 연기(緣起) 등은 양자역학 이론과 공통되는 부분이 있다. 둘을 비교하면서 공부하면 다소나마 정견(正見)이 열리지 않을까, 라는 개인적 생각을 갖고 있다. 그러기에는 내 지식이 양쪽 모두 너무 짧지만.

 

어쨌든 '진공묘유'를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출전이 어딘지도 모르겠고, 인터넷에서 뜻을 설명할 걸 보면 머리만 더 아파온다. 어떤 해설은 안 읽느니만 못하다.

 

얼마 전에 책을 보다가 '진공묘유'를 다시 만났다. 대단히 난해한 친구긴 하지만 가끔 이렇게 불현듯 나타나면 30년 지기를 만난 듯 반갑다. 그리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텅 비워라! 그러면 환히 빛나리라!" '진공묘유'를 이렇게 풀어볼 수는 없을까. 만날 때마다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오는 이 친구가 나는 좋다.

 

'길위의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이어서 다행이다  (0) 2021.04.21
시인의 사랑  (0) 2021.04.19
랑탕 랜선 트레킹(8)  (0) 2021.04.04
랑탕 렌선 트레킹(7)  (0) 2021.04.03
랑탕 랜선 트레킹(6)  (0) 2021.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