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34

붓다의 치명적 농담

지인이 빌려준 책이다. 부제가 '한형조 교수의 금강경 별기'인데 2011년에 나와서 현재 15쇄까지 찍었으니 종교 서적으로는 인기 있는 스테디 셀러라 할 수 있다. 불교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색다르게 접근하여 신선한 느낌을 준다. 내용이 알차서 맛있는 걸 먹듯 조금씩 야금야금 읽었다. 생각할 거리가 많아서 한 번만 읽고 말기에는 너무 아쉬워 나도 새 책을 한 권 샀다. 옆에 두고 다시 읽어보려 한다. 지금으로서는 이 책을 논할 처지가 못 된다. 지은이는 불교를 불성, 번뇌, 반야라는 세 축으로 설명한다. 불교가 이 세계를 어떻게 보는지 설명한 대목이 인상적이었다. 이 세계는 인간에 의해 구성된 세계다. 즉, 세계는 주관이 만든 환상이다. 그런 면에서 불교는 관념론에 가깝다. 그렇다고 객관적 실재를 부정하지..

읽고본느낌 2024.11.24

지는 꽃을 보러 가자 / 최성현

다섯,혹은 열 번에 한 번쯤이라도꽃이 아니라꽃잎이 지는 것을 보러 가자 뽐내지 마라교만하지 말라죽은 날이 있다는 걸 알라고떨어지는 꽃잎이 그대에게 말하리라 내려갈 때가 있다고떨어질 때가 있다고잃을 때가 있다고꽃잎은 지며 그대에게 말하리라 있을 때 잘하라고,건강할 때 조심하라고,잃기 전에 베풀라고,땅에 떨어진 꽃잎이 그대에게 말하리라 사는 재미가 없을 때는피는 꽃이 아니라지는 꽃을 보러 가자 죽음이 언제 그대를 데려갈지 모르니즐겁게 살고감사하며 살라고지는 꽃잎이 그대에게 말하리라 - 지는 꽃을 보러 가자 / 최성현  자연농 농부인 선생은 30대 초반에 귀농해서 30년 이상 자연농법으로 자급자족 규모의 논밭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다. 청년 시절에 자연농법을 만나 인류가 갇혀 있는 거대한 우물을 보는 경험을 ..

시읽는기쁨 2024.08.16

성난 물소 놓아주기

당신이 절에 살든, 도시에 살든, 혹은 가로수가 늘어 있는 조용한 거리에 살든, 다른 어디에 살든 때로 문제와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삶이라는 게 본래 그렇다. 건강에 문제가 생길 때 "의사 선생님, 제게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났습니다. 병이 났습니다."라고 말해서는 안 된다. 차라리 "제게 정상적인 일이 일어났습니다. 오늘 병이 났습니다."라고 말해야 한다. 일을 할 때든, 명상을 할 때든 가끔 일이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기도 할 것이라는 점을 받아들여야 한다. 세상이 당신에게 줄 수 없는 것을 달라고 하지 말고 그대로 관찰하라. 이 세상을 자기 마음에 들게 만들기 위해 다그치거나 밀어붙이려 하지 말고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놓아버려라. 자신의 몸과 마음과 가족과 세상과 싸울수록 부수적인 여러 가지 문제..

읽고본느낌 2024.07.16

소리를 괴롭히지 말라

위층에는 10년 넘게 올빼미가 산다. 초기보다는 활동량이나 빈도가 줄었지만 한밤중에 들리는 - 밤 11시에서 2시 사이 - 생활 소음은 잠을 못 이루게 하여 괴롭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기 위해서는 내가 미리 곯아떨어지는 게 제일이다. 층간소음에 어떤 마음가짐으로 대처하느냐는 오랫동안 내 삶의 화두로 계속되고 있다. 우리를 괴롭히고 짜증나게 만드는 소리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쓴 어느 스님의 글을 보았다. 스님은 명상을 방해하는 소음을 말하고 있다. 내용 중 일부를 옮기면 이렇다. 명상하면서 나는 나에게 묻곤 한다. "어째서 소음은 나를 어지럽게 만들까?" 밖에서 나는 새소리든 누군가가 기침하든, 넒은 홀 문이 쾅 하고 닫히든 어째서 나는 그 소리를 듣고 있는 것일까. 어째서 나는 눈꺼풀을 닫아버..

참살이의꿈 2024.07.13

다읽(19) - 싯다르타

대학생 때 한 친구는 좋아하는 여학생과 가까이하고 싶어 불교 동아리에 들어갔다. 그 여학생은 독실한 불교 신자였다. 친구는 여학생한테서 수시로 불교 관련 서적을 빌려왔다. 나도 따라서 읽게 되었는데, 나중에는 친구보다 내가 더 열심이게 되었다. 이 도 그때 읽었지 않았나 싶다. 아니면 당시 상황과 관계없는 나중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헤세는 인간의 문제, 그중에서도 인간 성장과 완성의 길을 다루는 작가다. 그의 작품에는 동양 사상도 짙게 배어 있다. 는 나를 찾아가는 여정으로서의 헤세의 특징이 잘 나타난 소설이다. 바라문 계급의 싯다르타는 요사이 말로 하면 금수저로 태어났다. 더구나 잘 생기고 총명했다. 그러나 이 세상이나 제도 종교에서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는 없었다. 고뇌하던 싯다르타는 친구 고빈다와 ..

읽고본느낌 2023.09.09

소설 무소유

소설 형식을 빌려 정찬주 작가가 쓴 법정스님의 일대기다. 초판이 2010년에 나왔으니 스님이 돌아가신 해에 출판한 책이다. 작가는 스님과 가까이 지내면서 여러 이야기를 들었던 것 같다. 한 인물을 그릴 때 대체로 미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책에는 보이지 않는다. 스님의 생각과 삶이 사실 그대로 실려 있다. 법정스님 하면 누구나 무소유를 떠올린다. 스님이 봉은사 다래헌에 계실 때인 1976년에 쓴 는 국민의 필독서가 되었고 무소유의 정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스님 자신이 무소유의 삶을 실천했기 때문에 울림이 더욱 컸을 것이다. 이 소설에는 법정스님이 통영 미래사에서 효봉스님 시자로 있을 때 무소유의 가치를 깨닫는 일화가 나온다. 어느 날 효봉스님의 걸망을 빨려고 하다가 걸망 안에서 비누조각을 발견했..

읽고본느낌 2022.12.07

욕심 속에서 욕심 없이

옛 노트를 열어보니 어느 날의 일기에 아무런 설명 없이 '在欲無欲'이라는 한자가 적혀 있다. 그 네 글자가 내 시선을 오래 붙잡는다. 해석하면 '욕심 속에서 욕심 없이 산다'는 뜻이겠다. 어디서 보고 노트에 옮겨 적은 것일까. 인터넷에서 출처를 찾아보니 '휴휴암주좌선문(休休庵主坐禪文)'이다. 옛날 중국에 있던 휴휴암이라는 절의 주지 스님이 쓴 글로 '在欲無欲'이 나오는 부분은 이렇다. 在欲無欲 居塵離塵 謂之禪 욕심의 세계에 있으나 욕심이 없으며 티끌 세상에 살면서도 번뇌에 빠지지 않는 것이 선(禪)이다. 재욕무욕 거진이진(在欲無欲 居塵離塵) - 욕심의 세계에 있으나 욕심이 없고, 티끌 세상에 살면서 티끌에 오염되지 않는다. 밥을 먹되 밥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되고, 돈을 아끼되 돈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

참살이의꿈 2022.02.03

토굴가 / 나옹

청산림(靑山林) 깊은 골에 일간토굴(一間土窟) 지어놓고 송문(松門)을 반개(半開)하고 석경(石徑)에 배회(俳徊)하니 녹양춘삼월하(綠楊春三月下)에 춘풍(春風)이 건듯 불어 정전(庭前)에 백종화(百種花)는 처처(處處)에 피었는데 풍경(風景)도 좋거니와 물색(物色)이 더욱 좋다 그중에 무슨 일이 세상에 최귀(最貴)한고 일편무위진묘향(一片無爲眞妙香)을 옥로중(玉爐中)에 꽂아두고 적적(寂寂)한 명창하(明窓下)에 묵묵히 홀로 앉아 십년(十年)을 기한정(期限定)코 일대사(一大事)를 궁구(窮究)하니 증전(曾前)에 모르던 일 금일(今日)에야 알았구나 일단고명심지월(一段孤明心地月)은 만고(萬古)에 밝았는데 무명장야업파랑(無明長夜業波浪)에 길 못 찾아 다녔도다 영축산제불회상(靈蹴山諸佛會上) 처처(處處)에 모였거든 소림굴조사..

시읽는기쁨 2022.01.29

진공묘유(眞空妙有)

30대 후반에 붓글씨를 배운 적이 있다. 동네 서예학원에 다니다가 좀 더 이름 있는 선생한테 배운다고 모 신문사 문화센터에 들어갔다. 가르치던 선생은 국전 특선 등 다양한 경력을 자랑하는 분이었다. 이 분은 서예 외에도 역사적 사건에 얽힌 배경을 설명하고 수강생의 관상을 봐주는 등 강의를 재미있게 진행했다. 날 보고는 젊을 때는 그늘에 가려져 있지만 50이 넘으면 빛을 본다고 잔뜩 희망 섞인 덕담을 했다. 결과적으로 빛 본 것 하나 없지만 들을 때는 기분 좋은 말이었다. 하여튼 이 분은 언행을 통해 자신이 뭔가 있어 보이게 만드는 특출한 재주가 있었다. 수강생들에게 꽤 인기가 있었던 강의였다. 몇 달 다니지 않아서였다. 서예 전시회를 한다고 하나씩 작품을 만들라고 했다. 초보인데 벌써 무슨 작품이냐고 손..

길위의단상 2021.04.14

다읽(3) - 티벳 사자의 서

책 표지를 넘기니 내지에 이런 글을 적어 놓은 게 눈에 들어온다. 모든 것은 마음이 바라는 대로 이루어지나니.... 1996년 2월, 삶과 죽음의 신비! 1999년 12월, 지금 여기 나에게 주는 메시지 2002년 10월, 진리를 향한 길 읽었을 때마다 짧은 감상을 적은 것이다. 책에는 거의 메모를 남기지 않는데 는 예외였던 것 같다. 그만큼 나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처음 이 책을 만났을 때의 감동이 잊히지 않는다. 뭔가 새로운 개안을 한 느낌이랄까, 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관점을 완전히 바꾼 책이다. 역설적으로 를 만남으로써 가톨릭 신앙이 오히려 더 깊어졌다. 의 원제목은 '바르도 퇴돌'로 '듣는 것만으로 영원한 자유에 이르기'라는 뜻이다. 인간의 죽음과 사후세계, 그리고 환생을 다루고 있다..

읽고본느낌 2020.08.27

도에 이르는 두 가지 길

6세기에 인도에서 중국에 온 달마대사는 선(禪)의 시조로 꼽힌다. 달마에서 전해진 선의 불꽃은 육조 혜능에 이르러 활짝 타오르게 된다. 달마대사는 온종일 침묵을 지키며 벽만 바라보고 참선을 했다고 해서 면벽바라문(面璧婆羅門)이라 불리웠다. 그만큼 세상과의 인연을 끊고 정진 수도했다는 뜻이리라. 달마대사가 썼다고 전해지는 글이 '이입사행론(理入四行論)'이다. 도에 이르는 길이 두 가지가 있다고 말하며, '지성에 의한 길'[理]과 '행위에 의한 길'[行]로 구분한다. 지성에 의한 길은 경전 공부를 통한 깨달음이고, 행위에 의한 길은 삶의 실천을 통한 깨달음이다. 마치 돈오와 점수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뒷날 선사들은 도에 이르는 길이 있다고 말하지는 않았으리라. 사실 이 글에서는 선의 정신이 보이지는..

참살이의꿈 2020.08.26

다읽(1) - 선의 황금시대

책장에서 잠자고 있는 옛 책을 다시 읽기로 한다. '다읽'은 '다시 읽기'의 줄임말이다. 코로나가 가르쳐 준 것 중 하나가 가까이 있는 것의 소중함이다. 방안을 가득 채우던 많은 책을 버렸을 때, 차마 떠나보내기 아까운 일부 책은 남겨 두었다. 언젠가는 다시 한번 읽어야지, 했는데 그때가 지금인 것 같다. '다읽'의 첫 번째 책은 중국의 오경웅(吳經熊) 선생이 쓴 다. 선(禪)에 관한 안내서로 이만한 책이 없다고 생각한다. 딱딱한 이론서가 아니라 선승의 생애와 일화 중심으로 쉽고 재미있게 선의 핵심을 풀이했다. 지은이인 오경웅 선생은 가톨릭 신자인 것이 특이하다. 1899년 중국에서 태어나 법학을 공부하고 바티칸 교황청 공사로도 근무했다. 특정 종교에 얽매이지 않고 폭넓게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이런 책..

읽고본느낌 2020.08.04

맑고 향기롭게

전에 살던 집 거실 벽에는 '맑고 향기롭게'라는 액자가 걸려 있었다. 신영복 선생이 쓴 붓글씨 복사본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원래 '맑고 향기롭게'는 법정 스님의 정신을 기리는 불교 운동으로 알고 있다. 종교를 떠나서 '맑고 향기롭게'라는 말이 무척 아름다웠고, 그 말이 주는 의미를 내 삶의 지표로 삼고 싶었다. 가당찮은 바람인 걸 알지만, 그때는 피안을 향한 무한 갈망의 시기였다. 며칠 전에 을 읽다가 '맑은 믿음'이라는 구절을 접하고 문득 '맑고 향기롭게'가 떠올랐다. 불교가 구현하려는 경지는 결국 '맑음'으로 귀결되는 게 아닐까. '맑은 믿음' 하나만으로도 엄청나게 많은 생각거리를 준다. 믿음이 무엇인지, 이 시대에 어떤 믿음으로 살아야 하는지, '맑은'이 주는 무게감이 만만찮다. 하물며 맑은 생각,..

참살이의꿈 2020.01.07

아, 달다!

나그네가 불타는 광야를 걷고 있을 때였다. 홀연 미친 코끼리 한 마리가 나타나 나그네에게 덤벼들었다. 마침 주위에는 입구에 큰 나무 한 그루가 거인처럼 가지를 벌리고 서 있는 우물이 있고, 우물 안으로 나무에 얽힌 칡덩굴이 내려뜨려져 있었다. 나그네는 급한 김에 칡덩굴을 타고 내려가 우물 안을 피신처로 삼았다. 하지만 우물 안도 살벌하긴 마찬가지였다. 우물 안쪽 벽에는 이무기 네 마리가 혀를 날름거리고 우물 아래에는 독룡이 입을 벌리고 있었다. 더욱이 나그네가 매달려 있는 칡덩굴을 검은 쥐와 흰 쥐 두 마리가 덤벼들어 갉아댔다. 이런 절박한 순간, 나무 위 벌집에서 꿀이 한 방울씩 떨어졌다. 나그네는 칡덩굴에 매달린 채 꿀맛에 탐닉하기 시작했다. 그 맛이 어찌나 달던지 모든 고통을 잠시 잊을 판인데, 화..

참살이의꿈 2019.08.12

어미의 마음

오늘이 부처님 오신 날이다. 문득 스님이 된 고향 동무가 떠오른다. 중학교를 졸업하고는 서로 떨어져 소식이 뜸했는데 어느 날 출가했다는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다. 다른 아이들과 달리 엉뚱하면서 진지한 면이 있긴 했지만 스님이 되리라고는 아무도 예견하지 못했다. 부모님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어머니가 해인사에 찾아갔지만 만나주지 않아 눈물바람을 했다는 얘기를 들었다. 이젠 자식이 아니고 어머니도 아니라는 매몰찬 대답만 전해 들었다 한다. 에미 얼굴도 안 보려는 지독한 놈이라고 돌아와서도 눈물 마를 날이 없었다 한다. 어머니의 마음일 것이다. 그 뒤로도 풍문으로만 아들 소식을 들었을 뿐이었다. 아들 얼굴 한 번 보지 못한 채 돌아가신 걸로 알고 있다. 동무와는 정말 우연히 군대에서 재회했다. 사단 사령부에 ..

참살이의꿈 2019.05.12

당신의 마음을 닮은 얼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영월 창령사터 오백나한전이 열리고 있다. 부제가 '당신의 마음을 닮은 얼굴'이다. 창령사(蒼嶺寺)는 고려시대에 세워졌지만 조선조에 들어서 폐사된 절이다. 2001년에 창령사 절터에서 땅에 묻혀 있던 나한상들이 발굴되었다.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의 줄임말로 산스크리터어 'arhat(아르핫)'을 한자로 음역한 것이다. 최고의 깨달음을 얻은 불교의 성자를 가리킨다. 부처님 입멸 뒤 그의 말씀을 경전으로 편찬하기 위해 모인 가섭을 비롯한 500명의 제자들이 오백나한이다. 본격적인 나한 신앙은 당나라 때부터 시작되었다. 이번에 창령사터에서 발굴된 나한상은 친근한 우리의 모습이어서 더 마음을 끈다. 인간의 다양한 희로애락 감정을 담고 있는데 특히 천진한 미소가 일품이다. 우리 내면에 잠자고..

사진속일상 2019.05.10

과보를 받겠습니다

우주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다. 물질세계에서 생기는 원인과 결과의 상호관계를 밝히는 학문이 자연과학이다. 뉴턴의 운동 법칙은 만물의 작동 원리를 설명해주는 인과 관계에 대한 깔끔한 이론이다. 만일 원인 없는 결과가 존재한다면 과학은 성립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의 생각과 행위에 인과 원칙을 적용한 것이 불교의 업론(業論)이다. 선업에는 좋은 과보가 따르고, 악업에는 괴로운 과보가 따른다[善因樂果 惡因苦果]. 인간이 짓는 모든 생각이나 행위가 업(業)으로 남아 영향을 미친다. 업에는 반드시 과보가 따른다는 것이 불교의 원리다. 그러므로 나의 삶에 대한 책임은 나 자신에게 있다. 자업자득(自業自得)이다. 악업을 지어 놓고 좋은 과보를 바란다면 도둑놈 심보에 다름 아니다. 거기서 괴로움이..

참살이의꿈 2019.04.28

허수아비 / 조오현

새 떼가 와도 손 흔들고 팔 벌려 웃고 사람이 와도 손 흔들고 팔 벌려 웃고 남의 논 일을 하면서 웃고 있는 허수아비 풍년이 드는 해나 흉년이 드는 해나 - 논두렁 밟고 서면 - 내 것이거나 남의 것이거나 - 가을 들 바라보면 - 가진 것 하나 없어도 나도 웃는 허수아비 사람들은 날더러 허수아비라 말하지만 손 흔들어주고 숨 돌리고 두 팔 쫙 벌리면 모든 것 하늘까지도 한 발 안에 다 들어오는 것을 - 허수아비 / 조오현 무산(霧山) 스님의 다비식이 어제 건봉사에서 열렸다. 속명을 따라 오현 스님이라고도 한다. 시인이기도 한 스님의 선시(禪詩)는 수도 정신의 높은 경지를 보여준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핵심을 드러낸다. 스님은 거침없는 언행으로 무애의 삶을 살았다. "가장 승려답지 않으면서, 가장 승려다..

시읽는기쁨 2018.05.31

다시 태어나도 우리

라다크를 무대로 하는 다큐멘터리 두 편을 최근에 보았다. 하나는 KBS에서 방송된 '순례' 1편인 '안녕, 나의 소녀 시절이여'이었고, 두번째가 이 영화 '다시 태어나도 우리'였다. '안녕, 나의 소녀 시절'은 라다크에 살고 있던 한 소녀가 승려로 출가하고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삶의 의미를 진지하게 생각하도록 만드는 프로그램이었다. 영상미가 특히 아름다웠다. 이 영화 '다시 태어나도 우리' 역시 린포체로 지명 받은 앙뚜라는 소년이 승려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앙뚜의 곁을 변함없이 지켜주는 사람은 스승인 우르갼이다. 둘은 스승과 제자 사이의 관계를 넘어선 깊은 인간애를 나눈다. 세속의 때가 전혀 묻지 않은 사랑의 교감이다. 주인공은 앙뚜지만 더 끌리는 건 우르갼이다. 히말라야를 닮은 순수하고..

읽고본느낌 2018.01.21

사월 초파일 칠보사

집에서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칠보사(七寶寺)가 있다. 사월 초파일 오후에 연등 구경을 하고 싶어 칠보사로 향했다. 부처님 오신 날이어서 절이 꽤 분주할 거라 예상했는데 의외로 조용했다. 오전 행사 뒤 대부분이 돌아가지 않았나 싶다. 그래도 연등은 기대보다 초라했다. 대웅전 앞에는 운동회가 열리듯 만국기가 펄럭였다. 스님은 평일인 듯 한가하게 산책하고 계셨다. 조계사 같은 큰 절의 화려한 연등이 너무 머릿속에 박혀 있었나 보다. 사실은 이런 작은 절이 정상인지 모른다. 시주자의 이름이 빼곡히 적힌 대형 절의 연등은 보기에는 장관일지 몰라도 너무 뻐기는 폼이 부담스럽다. 내 복을 기원하는 게 자랑일 수 없다. 만약 설법이나 설교, 강론에서 복을 바라는 사람은 오지 말라고 한다면 어떻게 될까. 불교는 부처가..

사진속일상 2016.05.14

부제가 '죽음을 통해서 더 환한 삶에 이르는 이야기'다. 능행 스님이 썼다. 스님은 불교계 최초로 호스피스 전문병원을 설립하고 20년 넘게 죽음과 함께 하는 생활을 했다. 이 책은 스님이 직접 죽음의 현장에서 부딪치고 성찰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죽음을 말하지만 어떻게 살아야 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누구나 죽지만 죽음을 깊이 생각하지는 않는다. 먼 미래에 닥칠 일이라고 여긴다. 불길하다고 느껴서인지 죽음을 입에 올리기를 꺼린다. '4'가 '죽을 사' 자와 발음이 같다고 기피하는 것만 봐도 안다. 그러나 준비 안 된 죽음 앞에서는 누구나 당황하게 되고 어찌 할 바를 모른다. 자기 죽음에 대해 직시하며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수많은 죽음을 곁에서 목격한 스님은 말한다. 잘 살면 좋은 죽음을 맞이할 수 ..

읽고본느낌 2016.05.08

즉문즉설

한 달 가까이 법륜 스님의 즉문즉설을 들었다. 그동안의 조건이 이런 내용과 가까이하는데 알맞았다. 침대에 누워 눈을 감고 들으면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의 마음가짐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다. 사람들의 고민과 고통에 같이 아파하기도 하고, 스님의 기상천외한 답변에 인식의 전환이 생기는 경험도 했다. 팟캐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법문을 600회 정도 들었으니 바깥나들이를 할 수 없었던 기간이 준 고마운 선물이었다. 스님의 가르침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로, 행복은 내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어떤 조건이 행복과 평화를 가져다주지 않는다. 주어진 과보를 인정하고 있는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남을 변화시키려 하는 데서 번민이 생긴다. 우선 내가 변해야 한다. 미워했던 상대에 대한 참회에서 치유가 시작..

참살이의꿈 2015.06.08

밥그릇 경전 / 이덕규

어쩌면 이렇게도 불경스런 잡념들을 싹싹 핥아서 깨끗이 비워놨을까요 볕 좋은 절집 뜨락에 가부좌 튼 개밥그릇 하나 고요히 반짝입니다 단단하게 박힌 금강(金剛) 말뚝에 묶여 무심히 먼 산을 바라보다가 어슬렁 일어나 앞발로 굴리고 밟고 으르렁그르렁 물어뜯다가 끌어안고 뒹굴다 찌그러진 어느 경지에 이르면 저렇게 마음대로 제 밥그릇을 가지고 놀 수 있을까요 테두리에 잘근잘근 씹어 외운 이빨 경전이 시리게 촘촘히 박혀 있는, 그 경전 꼼꼼히 읽어 내려가다 보면 어느 대목에선가 할 일 없으면 가서 '밥그릇이나 씻어라' 그러는 - 밥그릇 경전 / 이덕규 한 학승이 조주(趙州, 778~897) 선사를 찾아왔다. "저는 공부한 지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큰스님께서 잘 지도해 주십시요." 이에 선사는 엉뚱한 질문을 던졌다..

시읽는기쁨 2015.03.25

사람의 맨발

한승원 작가의 장편소설로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그렸다. 세상 부조리에 대한 싯다르타의 고뇌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출가에 초점을 두었다. 소설은 싯다르타가 열반한 뒤 스승의 부음을 듣고 달려온 카사파에서 시작된다. 카사파가 슬퍼하고 있을 때 관이 터지며 싯다르타의 발이 밖으로 뻗어 나온다. 싯다르타의 두 발은 모든 것을 버리고 집을 떠난 출가자의 표상이다. 싯다르타가 두 발을 카사파에게 보인 것은 만천하의 인민들에게 올바른 길을 가르치기 위하여 험한 길을 걸어다닌 맨발의 의미를 잊지 말라는 당부인 것이다. 싯다르타는 사카 왕국의 임금으로 인민을 위한 선정을 베풀려고 노력했다. 카스트 신분 제도를 신의 뜻이라며 강요하고 인간을 속박하는 계급사회를 싯다르타는 인정할 수 없었다. 모두가 같은 인간으로서 존중받고 ..

읽고본느낌 2014.07.21

일색변 / 조오현

1 무심한 한 덩이 바위도 바위소리 들을라면 들어도 들어올려도 끝내 들리지 않아야 그 물론 검버섯 같은 것이 거뭇거뭇 피어나야 2 한 그루 늙은 나무도 고목소리 들을라면 속은 으레껏 썩고 곧은 가지들은 다 부러져야 그 물론 굽은 등걸에 장독(杖毒)들도 남아 있어야 3 사내라고 다 장부 아니여 장부소리 들을라면 몸은 들지 못해도 마음 하나는 다 놓았다 다 들어올려야 그 물론 몰현금(沒弦琴) 한 줄은 그냥 탈 줄 알아야 4 여자라고 다 여자 아니여 여자소리 들을라면 언제 어디서 봐도 거문고줄 같아야 그 물론 진겁(塵劫) 다하도록 기다리는 사람 있어야 5 사랑도 사랑 나름이지 정녕 사랑한다면 연연한 여울목에 돌다리 하나는 놓아야 그 물론 만나는 거리도 이승 저승쯤은 되어야 6 놈이라고 다 중놈이냐 중놈소리 들..

시읽는기쁨 2014.07.16

아름다운 번뇌 / 복효근

오늘도 그 시간 선원사 지나다 보니 갓 핀 붓꽃처럼 예쁜 여스님 한 분 큰스님한테 혼났는지 무엇에 몹시 화가 났는지 살풋 찌푸린 얼굴로 한 손 삐딱하게 옆구리에 올리고 건성으로 종을 울립니다 세상사에 초연한 듯 눈을 내리감고 지극정성 종을 치는 모습만큼이나 그 모습 아름다워 발걸음 멈춥니다 이 세상 아픔에서 초연하지 말기를, 가지가지 애증에 눈감지 말기를, 그런 성불일랑은 하지 말기를 들고 있는 그 번뇌로 그 번뇌의 지극함으로 저 종소리 닿는 그 어딘가에 꽃이 피기를.... 지리산도 미소 하나 그리며 그 종소리에 잠기어가고 있습니다 - 아름다운 번뇌 / 복효근 절에 가면 불이문(不二門)이 있다. 해탈과 번뇌, 정토와 예토가 따로 있는 게 아니다. 더 깊은 뜻이 있는지 모르지만 나는 그렇게 받아들인다. 나..

시읽는기쁨 2014.06.08

백팔배를 올립니다 / 최상호

제 일 배,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생각하며 절합니다. 이 세상 처음 올 땐 인연 따라 온 것일뿐 산 속이든 물 속이든 돌고 도는 순리인즉 한 목숨 누리며 살 때 멈출 자리 봐 둘 일 제 사 배, 나의 진정한 얼은 어디에 있나 생각하며 절합니다. 하늘 뜻 새기는 일 먼 산보며 깨닫는다 땅의 뜻 다지는 일 길 가면서 되새긴다 늘 깨어 바라보는 일 쉬지 않는 이유다 제 십오 배, 하나의 사랑이 우주 전체에 흐르고 있음을 생각하며 절합니다. 달빛을 사랑한 별이 작은 눈을 끔벅이면 한 줄기 바람결이 풍경을 깨우도다 부처도 그윽한 웃음으로 달빛 별빛 모으신다 누구라 해탈한 듯 산속 절집 찾아오고 노스님 죽비 후려 새벽 군불 지피는데 선잠 깬 동자승 혼자 뒤척이며 찾는 엄마 제 십구 배, 생명의 샘물과 우..

시읽는기쁨 2013.06.07

타력

일본 불교 중 하나인 정토진종(淨土眞宗)을 처음 접한 건 10여 년 전 키요자와 만시가 쓴 라는 소책자를 통해서였다. 불교지만 타력신앙을 강조하는 점에서 기독교 신앙과 닮은 데가 많아서 놀랐다. 예를 들면, 이런 구절 같은 것이다. "사람은 무한자(無限者, The Infinite) 또는 절대자(絶對者, The Absolute)와 만남을 통해서만 든든한 토대 위에 설 수가 있다." "인간을 초월하는 힘[他力]을 의존함으로써 얻게 되는 내적 평안이 신심(信心)이다." "종교는 이 세상에서 착한 사람이 되기 위해 따라가야 하는 그런 길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 너머로 가서 닿는 길이다." "나는 내 지력(知力)에 한계가 있음을 알고 있기 때문에 여래(如來)를 믿고 의지한다." 정토진종을 창시한 사람은 신란(親鸞..

읽고본느낌 2013.04.02

적멸을 위하여 / 조오현

삶의 즐거움을 모르는 놈이 죽음의 즐거움을 알겠느냐 어차피 한 마리 기는 벌레가 아니더냐 이 다음 숲에서 사는 새의 먹이로 가야겠다 - 적멸을 위하여 / 조오현 나와 너, 생과 멸의 경계가 사라지는 경지다. 지극한 무위(無爲)며 공(空)이다. 머리가 멍해진다. 부처님 말씀하셨다. "나고 없어짐 벗어나면 고요한 그곳이 즐거움이 된다[生滅滅已 寂滅爲樂]." 흰 눈 덮이는 고요한 밤에 달빛만 교교하다. 적멸(寂滅)을 위하여....

시읽는기쁨 2013.02.15

종교는 행(行)이다

어느 스님의 법문에서 불교를 행(行)의 종교라고 말씀하시는 걸 듣고 눈이 번쩍 뜨였다. 이때까지 불교를 마음의 종교, 깨달음의 종교라 알고 있었다. 깨달음을 통해 윤회의 고통에서 해방되고 열반의 세계에 드는 것이 불교를 믿는 목적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스님의 말씀을 듣고 보니 깨달음과 행이 분리된 게 아니었다. 하루하루의 행이 쌓여 깨달음으로 이어지고, 그것이 다시 정진하는 힘이 된다. 알고 실천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그러므로 종교와 믿음이란 행이며 실천이라 할 수 있다. 불교에는 자비행, 보살행, 신수봉행이라는 말이 자주 나온다. 신수봉행(信受奉行)이란 믿고 받아서 받들어 행한다는 뜻이다.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일상생활에서 그대로 살아가는 것이다.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다. 불교만이 아니..

참살이의꿈 2012.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