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나무 672

수산리 굴참나무

우리나라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참나무가 다섯 그루 있다. 이 수산리 굴참나무도 그중 하나다.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의 작은 언덕 위에 있다. 옆으로는 왕피천(王避川)이 흐른다. 수령은 300년 정도로 추정하는데, 참나무가 이 정도면 굉장히 오래 산다고 할 수 있다. 나무 높이는 20m, 줄기 둘레는 6m다. 고령 탓인지 나무는 많이 상했다. 센 태풍이 지나가면 위태할 정도로 허약해 보인다. 인간의 보살핌이 있었기에 이만큼이라도 삶을 유지하지 않나 싶다. 옛날에는 성류굴이나 불영사를 찾아가는 행인들의 이정표 역할을 이 나무가 했다고 한다. 언덕에 큰 참나무가 있으니 그걸 끼고 돌아가면 된다고 알려주었을 것이다. 지금은 내비게이션이 있으니 나무를 찾는 사람은 거의 없다. 작은 화면을 쳐다보느라 거목이 있는지..

천년의나무 2019.12.11

소태리 소나무와 느티나무

경북 울진군 온정면 소태리는 백암온천이 있는 마을이다. 마을 온천길에 소나무와 느티나무 보호수가 있다. 소나무는 온정 119 안전센터 앞에 있다. 수령이 300년으로 미끈하게 잘 생긴 미인송이다. 키는 18m, 줄기 둘레는 3m로 줄기가 둘로 갈라져서 아름답게 뻗어 있다. 느티나무는 농협 백암수련원 앞에 있다. 세 그루가 있는데 그중 대표 나무는 수령이 400년이다. 높이는 19m, 줄기 둘레는 5m다. 이 느티나무는 마을의 당산나무로 매년 정월 대보름날에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낸다. 평시임에도 제단에는 소주, 막걸리, 물병이 정성 들여 올려져 있다. 제단석에는 '洞主 道峴 水口 盤石'이라 적혀 있다. 잘 모셔야 할 나무가 너무 도로에 연해 있는 점이 아쉽다.

천년의나무 2019.12.10

산황동 느티나무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산황동에 있는 느티나무다. 일산이라고 하면 신도시가 연상되는데 아직 이런 시골 마을이 남아 있다. 나무는 둘레가 9m를 넘을 정도로 우람하지만 위로 뻗은 줄기는 많이 상했다. 한쪽 줄기는 험난했던 세월을 웅변하듯 용트림의 기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최근에 가지를 이어 붙인 흔적도 보인다. 이 느티나무에는 이런 전설이 있다. 이성계의 명으로 무학대사가 새 도읍지를 찾아다닐 때 북한산 아래를 살피다가 이곳을 눈여겨보고 나무 세 그루를 심었다고 한다. 그중 두 그루는 죽은 남은 한 그루가 이 나무라는 얘기다. 나무 수령은 자동으로 650년 정도 되어야겠다.

천년의나무 2019.11.15

명륜당 은행나무(3)

동료와 단풍 든 창경궁을 산책한 뒤 명륜당 은행나무 앞에 왔다. 이 나무를 보러 올 때마다 설렌다. 이번에는 어떤 모습을 보여줄 지 기대가 되기 때문이다. 같은 나무지만 만날 때마다 감흥이 다르다. 그중에서도 제일 아름다운 풍경은 가을이 되어 샛노랑으로 물들 때다. 지금은 녹색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중간에 있다. 가만히 바라보니 이 색깔 또한 매력이 있다. 나무 아래서는 단체로 온 여고생들이 성균관과 은행나무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무슨 말을 들었는지 까르르 웃는 소리가 명랑하다. 이제 갓 피어나는 청춘은 이 가을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오래된 은행나무에는 유주(乳柱)가 생긴다. 마치 종유석을 닮았다. 명륜당 은행나무에도 유주가 뚜렷이 보인다. 유주는 주로 숫나무에 생긴다는데 그렇다면 명칭이 어울리지 않..

천년의나무 2019.11.06

오가리 느티나무(3)

가을물 든 이 느티나무를 보고 싶었다. 괴산군 장연면 오가리에 있는 두 그루의 느티나무다. 천연기념물 382호로 지정되어 있으니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느티나무라 해도 손색이 없겠다. 지난 두 차례 방문에서는 초록잎이 무성한 여름이었다. 두 그루 중 언덕에 있는 느티나무를 상괴목, 도로 쪽 아래에 있는 느티나무를 하괴목이라 한다. 밑의 사진은 하괴목이다. 아래는 상괴목이다. 때가 좀 더 지나야 갈색 옷으로 갈아입을 것 같다. 하괴목에 비해 상괴목은 아직 녹색 기운이 많이 남아 있다. 바로 이웃하고 있지만 나무마다 개성이 다르다. 같은 나무라도 햇빛을 받는 양에 따라 잎이 변색되는 정도가 다르다. 이런 거목일 수록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완전히 무르익은 건 아니지만 두 노거수의 가을을 만나고 왔다.

천년의나무 2019.11.05

북가현리 느티나무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북가현리에 있는 느티나무다. 마을에서 약간 떨어진 들판에 있다. 사진 피사체로서는 좋은 조건이다. 그런데 줄기에서 나온 가지의 반이 무슨 이유에선지 고사했다. 뇌졸증으로 반신불수가 된 모양새다. 이 나무에 얽힌 전설이 있다. 옛날에 마을에 괴질이 돌아 사람들이 많이 죽었다. 어느 날 허름한 옷차림의 도인이 지형을 살피더니 구봉산의 정기를 누르기 위해서 심으라고 나무 한 그루를 주고 갔다. 그 뒤부터 마을에 가뭄이나 질병이 없어지고 화목하게 잘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 도인이 주고 간 나무가 바로 이 느티나무다. 나무의 수령은 400년, 키는 12m, 줄기 둘레는 5.4m다. 온전한 형태였으면 멋진 느티나무였을 텐데 무척 아쉽다.

천년의나무 2019.10.20

오흥리 느티나무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오흥리 금광호수변에 있는 두 그루의 느티나무다. 가까이에 혜산 박목월 시인의 집필실이 있던 곳이어선지 소공원으로 잘 조성해 놓았다. 두 그루 중 할아버지 나무라 불리는 오래된 느티나무에는 전설이 전해온다. 옛날 어떤 사람이 느티나무 아래서 개를 잡았다. 그 뒤로 원인 모를 병에 걸려 시름시름 앓았는데, 어느 만신이 나무 아래에서 굿을 해보라고 했다. 식구들이 굿을 하자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이후 마을 사람들은 정월 열나흗 날에 모여 한 해의 풍년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제를 올렸다고 한다. 이 나무는 수령이 450년이 되었고, 나무 높이는 13m, 줄기 둘레는 6.8m다. 이웃해 있는 느티나무는 수령이 350년이 되었다. 옆 나무가 할아버지라면 이 나무는 할머니 느티나무라 할 만하..

천년의나무 2019.10.15

청곡리 느티나무

인가 없는 벌판에 홀로 서 있는 느티나무다. 시야가 훤히 열려 있으니 더욱 우뚝해 보인다. 큰 느티나무지만 비교할 대상이 없으니 작게 보이는 건 어쩔 수 없다. 줄기 둘레가 7m나 되고, 나무 높이는 26m다. 나무 주변에 쉼터를 잘 만들어 놓았고, 임지 화장실까지 있는 게 특이하다. 그렇지만 찾는 사람이 그리 많을 것 같지는 않다.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청곡리에 있다.

천년의나무 2019.09.03

횡성향교 은행나무

강원도 횡성읍에 있는 횡성향교(橫城鄕校)는 조선 건국 초기인 태조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는 오래된 향교다. 공자를 비롯한 중국 성현과 우리나라의 18선현을 봉안하고 있다. 횡성향교 담장 밖에 100여 년 수령의 은행나무와 느티나무가 있다. 전에는 향교 안에 속해 있었을 나무다. 이 중에서 수령이 170년인 은행나무는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나무 높이는 20m, 줄기 둘레는 2.6m다. 수세나 연륜이 보호수로 되기에는 좀 부족해 보이지만, 향교의 지킴이로 꿋꿋하게 자라고 있다.

천년의나무 2019.09.02

무봉리 느티나무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봉리에 있는 느티나무다. 네 그루가 있는데 그 중에서 제일 오래된 나무는 수령이 300년 정도 되었다. 이 나무는 높이가 14m, 줄기 둘레는 3.8m다. 무봉2리 마을회관 앞에 있다. 낮 기온이 37도까지 오른 뜨거운 날이었는데, 나무 그늘 아래서 동네 어르신들이 담소를 나누며 쉬고 있었다. 나무 네 그루가 만드는 그늘이 넓고 시원했다. 그늘에 드니 더운 줄을 모르겠다. 실내에서 에어컨 바람을 쐬는 것보다 훨씬 낫다. 무봉2리는 '거친봉이'라고도 하는 큰 마을이다. 주변 사람들이 시장에 가기 위해서는 이 마을을 거쳐 간다고 해서 명명된 이름이라고 한다. 오래 전부터 이 느티나무는 지나가는 객들이 쉬어가는 장소였을 것이다. 옆에는 주막이 있었을 법도 하다.

천년의나무 2019.08.06

진동리 쪽버들과 돌배나무

기린면 진동리는 곰배령 들어가는 입구 마을이다. 두 그루의 보호수가 있다. 하나는, 계곡에서 자라는 물을 좋아하는 쪽버들나무다. 수령은 약 200년으로 추정한다. 그동안 무수한 홍수가 있었을 텐데 버텨내며 생존한 능력이 놀랍다. 나무 높이는 20m, 줄기 둘레는 90cm다. 둘은, 역시 수령이 200년 정도인 돌배나무다. 돌배나무는 산에서 야생하는 배나무를 말한다. 산짐승이 씨앗을 퍼뜨려 번식한다. 열매는 당연히 작을 것이다. 이 돌배나무는 높이가 24m, 줄기 둘레는 1m 정도다.

천년의나무 2019.05.20

보문사 향나무

석모도 보문사에 있는 향나무다. 대웅전 왼쪽 옆의 석실 앞에 있다. 나무가 있는 땅은 주변보다 2m 정도 높다. 땅을 깎아내면서 나무만 덩그러니 남은 듯하다. 수세가 왕성하여 잎이 온몸을 둘러싸고 있다. 수령은 700년 정도로 추산한다. 45도로 땅에서 나온 줄기가 둘로 갈라지면서 용트림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철주로 받쳐주지 않는다면 가지 하나는 상했을 것이다. 이웃해 있는 느티나무와 함께 이 향나무는 보문사의 중요한 풍경을 이룬다. 이런 나무가 있으므로 절 역사는 깊이를 더한다.

천년의나무 2019.05.16

관청리 느티나무

강화읍 관청리에 있는 느티나무다. 강화성 동문 가까이에 있다. 지대가 높아 나무에서는 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수령은 600년 정도이고, 높이는 19m, 줄기 둘레는 7m다. 이 나무는 큰 가지가 하나가 잘려나가서 보는 각도에 따라 모양이 다르다. 온전한 나무라면 360도 대칭 구조라 어디서 봐도 비슷하다. 그러나 균형이 깨지면 같은 나무인데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신산한 세월의 흔적이 배인 관청리 느티나무다.

천년의나무 2019.05.14

관훈동 회화나무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에 있는 회화나무다. 나무 높이는 20m, 수령은 400년 정도로 추정한다. 이곳은 율곡 이이 선생이 살았던 집터라고 한다. 지금은 사방으로 빼곡하게 빌딩이 들어서 있고, 회사원들이 휴식시간에 밖으로 나와 담배를 피우는 쉼터다. 나무를 보호한다고 돌로 울타리를 쳤지만, 나무의 생육 환경으로는 최악의 조건이다. 안내문에는 이곳 터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에 이 일대가 '독녀혈(獨女穴)'로 묘사되어 있는데, 과부가 많이 생기는 좋지 않은 땅이라고 한다.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방법 중 하나로 큰 나무를 심었는데, 이 회화나무도 그런 의미로 봐야 한다는 해설이다. 큰 인물이 살거나 높은 건물이 들어서는 것도 효과가 있다. 지기(地氣)가 나쁜 땅이라도 대응 여하에 따라 활용 가능하다는 것이 풍..

천년의나무 2019.05.09

가대리 느릅나무

단양, 영월 지역에는 느릅나무 고목이 많다. 마을 정자목으로 느릅나무를 많이 심은 듯하다. 느릅나무는 쓰임새가 여러 가지지만 수형도 호방한 나무다. 이 느릅나무는 단양군 가곡면 가대리에 있다. 나무 높이는 20m, 줄기 둘레는 5m에 이른다. 안내문에 수령이 500년으로 나와 있는데, 너무 높게 계량한 것 같다. 나무 앞에는 간이 정자와 성황당이 있다. 오랜 세월 잘 자란 멋진 나무다.

천년의나무 2019.04.07

임현리 느티나무

임현리는 충북 단양군 어상천면소재지 마을이다. 삼태산 등산로의 기점이기도 하다. 이 느티나무는 임현리 입구에 있으며 수령은 200년 정도 되었다. 도로 쪽으로 40도 정도 기울어졌고, 줄기의 반은 보형재로 채워져 있다. 나무 밑에는 정자와 운동 기구가 있는데 마을 주민이 얼마나 이용할지는 의문이다. 차량 통행이 많지 않지만 도로에 붙어 있어 쉼터로는 적당하지 않아 보인다.

천년의나무 2019.04.05

신대리 백송(2)

처음 봤을 때보다 더 커졌고 싱싱해진 느낌이다. 10여 년 사이에 눈에 띌 만한 변화가 없을 테지만, 보는 각도가 달라져서인지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를 보여주는 듯하다. 백송이 귀하다 보니 오래된 백송은 대부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신대리 백송은 약 210년 전 조선시대 참판을 지낸 민달용의 묘소에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이천시 백사면 신대리 산32번지에 있다.

천년의나무 2019.04.02

도립리 반룡송(3)

세 번째로 찾았지만 볼 때마다 감탄을 하게 되는 나무다. 줄기의 형상이 기기묘묘하다. 용트림 모양이라 하여 반룡송(蟠龍松)인데, 그보다는 구렁이가 먹이를 칭칭 감고 있는 모습이 먼저 연상된다. 나무의 어떤 요인이 이런 형태를 만들었는지 궁금하다. 옆에 있던 사람의 나름대로의 설명이 들린다. 소나무를 위로 못 자라게 하면서 가지를 인위적으로 변형시켰다는 것이다. 어쩐지 그 말이 합리적으로 들리지만 확인할 길은 없다. 반룡송은 이천 9경 중 하나며 천연기념물 제381호다. 신라말 도선 선사가 심었다는 전설이 있다. 그래선지 추정 나이는 850살이다.

천년의나무 2019.04.02

화엄사 흑매와 야매

홍매화 종류지만 너무 붉은색이 진하니 흑매(黑梅)라고 부른다. 전남 구례 화엄사에 있는 매화나무다. 수령은 3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봄이 되면 이 매화의 색깔 때문에 화엄사 스님들 마음에 파문이 일 것 같다. 그러다가 파문 당하는 일은 없겠지, 설마. 나무의 맵시 또한 고혹스럽다. 화려하면서도 곱게 성장(盛裝)한 여인네의 단심(丹心)이 이러하리라. 이번 탐매 여행에서 유일하게 꽃 때를 맞춘 매화나무다. 그런데 매화나무 옆 건물을 보수공사하느라 사진을 제대로 담을 수 없어 아쉬웠다. 내년에 다시 한 번 들러야겠다. 흑매의 개화 시기는 3월 20일 경이다. 화엄사 뒤편에 길상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다. 대부분의 관람객은 여기까지 올라오지 않는다. 길상암 앞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매화나무가 있다. 야매(野梅..

천년의나무 2019.03.24

백양사 고불매

우리나라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매화나무가 네 그루 있다. 그중 하나가 이 백양사 고불매(古佛梅)다. 백양사에서는 1700년경부터 매화나무를 심고 가꾸어 왔다고 한다. 그때 심은 매화나무 중 현재까지 살아남은 유일한 매화나무다. 분홍색 꽃이 피는 홍매로, 수령은 350년가량 되었다. 장성 백양사는 고불총림(古佛叢林)이라 불린다. 총림(叢林)은 선원, 강원, 율원 등을 갖춘 사찰로, 해인사, 통도사, 송광사, 수덕사, 백양사를 5대 총림이라 한다. 1947년에 백양사에서는 부처님의 원래 가르침을 따르자는 뜻으로 고불총림을 결성했다. 그래서 이 매화를 고불매라 부른다. 고불매는 대웅전을 바라볼 때 뜰 왼편 통로에 있다. 줄기에서 가지가 셋으로 갈라졌는데, 전체적인 모양새가 단아하고 품위 있다. 우리가 찾아갔..

천년의나무 2019.03.23

남사마을의 오래된 나무

경남 산청군 단성면에 있는 남사마을은 고가가 잘 보존되어 있는 전통 마을이다. 옛 담이 아름다워 '예담촌'이라고도 한다. 마을을 둘러볼 때 전통 가옥과 함께 오래된 나무를 만나보는 즐거움이 크다. 제일 유명한 나무는 '원당매'지만, 다른 오래된 나무도 여러 그루 있다. 1. 남호정사 매화나무(이씨매) 백매(白梅)로 희고 맑은 꽃이 핀다. 은은한 향기와 품격 있는 모습으로 선비의 지조를 상징하며 사랑을 받는 매화나무다. 수령은 150년 되었다. 2. 하씨고가 감나무 고려말 원정공 하즙(河楫)의 손자 하연이 어릴 때 심은 나무로 전해진다. 그렇다면 수령이 600년이 넘는다. 안내문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감나무라 적혀 있다. 얼마나 믿어야 할지는 의문이다. 3. 선명당 매화나무(정씨매) 남사마을에서 가..

천년의나무 2019.03.22

백양사 갈참나무 길

전남 장성 백양사로 들어가는 길에 갈참나무 군락이 있다. 수령이 300년이 넘는 갈참나무 30여 그루가 자란다. 그중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700년 된 갈참나무도 있다. 야산에서 흔히 보는 갈참나무가 이런 고목으로 자랄 수 있다는 게 신기하다. 원래 이곳은 갈참나무 숲이었고, 이만한 갈참나무가 남아 있음은 정성들여 보호한 결과일 것이다. 지금은 도로에 자리를 내어주고 나무만 덩그라이 서 있다. 원래의 생육 환경으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우회 도로를 만드는 등 조치가 필요해 보인다. 갈참나무 노거수가 모여 있는 이런 군락지는 찾아보기 어렵다.

천년의나무 2019.03.22

산청 삼매

산청에 있는 세 그루의 오래된 매화나무를 '산청 삼매'라고 부른다. 남명매, 원정매, 정당매다. 오래전부터 찾아가 보고 싶었는데 이제서야 원을 이루었다. 그런데 너무 늦었는지 두 그루는 이미 고사했다. 십 년 전까지는 살아 있었다는데 아쉽다. 모든 일에는 때가 있는 법이다. 1. 남명매(南冥梅) 남명 조식(曺植, 1501~1572) 선생이 61세 때 지리산 천왕봉이 바라보이는 이곳에 산천재(山天齋)를 짓고, 뜰에 심은 나무라 한다. 수령이 500년 가까이 되는 매화나무다. 이 매화나무와 관계 있음직한 선생의 시가 전한다. 朱點小梅下 高聲讀帝堯 窓明星斗近 江闊水雲遙 작은 매화 아래서 책에 붉은 점 찍다가 큰소리로 요전을 읽는다 북두성이 낮아지니 창이 밝고 강물 넓은데 아련히 구름 떠있네 2. 원정매(元正梅..

천년의나무 2019.03.21

백양사 비자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는 비자나무 숲이다. 전남 장성군 북하면에 있는 백양사 주변 산에 7천 그루 정도가 자생하고 있다. 이 숲은 고려시대 진각국사(眞覺國師, 1270~1355)가 당시 구충제로 사용되던 비자나무 열매를 주민들에게 나누어주기 위해 심었다고 한다. 비자나무 열매는 구충제와 같은 의약 재료나 식물성 기름으로 사용되고, 목재는 탄력이 좋고 무늬가 예뻐 건축과 가구재, 바둑판 등에 많이 쓰인다. 비자나무는 추위에 약한 난대성 상록침엽수라 제주도와 남부 지방에서 주로 자란다. 백양사 비자나무 숲은 산감(山監) 스님을 둘 정도로 절에서 정성들여 관래한 탓에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천년의나무 2019.03.20

명월리 팽나무 군락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팽나무 군락지다.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 하천변을 중심으로 수령이 5백 년 된 팽나무 6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팽나무가 워낙 자유롭게 자라는 나무다 보니 줄기와 가지의 생김새가 전부 다르고 독특하다. 볼만한 광경이다. 팽나무는 그 생김새 때문에 여름보다는 겨울에 보는 게 더 멋있다. 제주도 중산간 마을은 해변의 관광지와 멀어서 조용하고 깔끔하다. 이곳 명월리도 그렇다. 명월리에는 16세기 후반에 군위 오씨가 들어오면서 주성을 이루게 되었다. 마을은 꽤 넓다. 주민이 늘어나며 마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개울을 따라 팽나무가 심어진 것 같다. 명월리는 가수 백난아 씨의 고향이라고 한다.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 나라 내 고향, 언덕 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 이 노래를 부르며 머릿속에는..

천년의나무 2019.03.12

어음리 팽나무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에 있는 팽나무다. 수령은 400년 정도 되었고, 나무 높이는 18m, 줄기 둘레는 4.8m다. 나무는 전체적으로 가지가 많이 상했고, 줄기에도 옹이가 많이 생겨 있다. 나무가 자라면서 겪은 풍상을 말해주는 듯하다. 제주 4.3 사건 때 어음리도 큰 피해를 봤다고 한다. 그때의 고통이 나무에 새겨진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애잔하게 바라보게 되는 제주의 나무다.

천년의나무 2019.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