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산. 바. 라. 기.
삼인리 송악 본문
송악에서는 삶의 처절함과 지난함이 느껴진다. 송악은 바위나 나무를 타고 오르는데 마치 밧줄 같은 줄기가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는 모습은 처절한 생존경쟁의 현장 그대로이다. 특히 송악이 다른 나무를 감고 있을 때 그것은 서로간에 죽이느냐 죽느냐의 절박한 상황을 연출한다. 이때 송악은 짖궂은 심술꾸러기 같다.그리고 바위를 타고 오르는 송악 줄기는 바위 색깔 그대로를 닮았다. 그래서 나무가 아니라 바위의 한 부분으로 보인다. 송악은너무나 바위를 사모해서 아주 바위에 딱 달라붙었다. 그러나 너무 가까이 있는 것도 내 눈에는 무척 힘들어 보인다. 송악은 엄청난 욕심꾸러기다.
선운사 입구에 있는 이 삼인리 송악은 우리나라에 있는 송악 중에서 가장 크다. 줄기 둘레가 80cm에 이르고, 높이는 15m나 된다. 여기가 송악이 자랄 수 있는 북방한계선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송악은 주로 남부 지방의 섬이나 해안지역에서 자란다. 송악은 본래 따뜻한 지방에서만 자라는 늘푸른 덩굴식물이기 때문이다.
선운사에 들릴 때마다 길 옆에 있는 이 송악 가까이에 가본다. 작은 개울을 건너면 바로 송악 밑에까지 갈 수 있다. 이 나무는 천연기념물 367호로 지정되어 있다.